내달 1일부터 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사적 모임 인원 제한이 4명에서 6명으로 늘어나고, 15일 이후 8명까지 확대된다.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도 오후 10시에서 자정까지 2시간 연장된다. 비수도권은 집합금지가 전면 해제된다. 정부는 20일 오후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새로운 거리두기 지침을 공개했다. 현 5단계로 이뤄진 거리두기를 4단계로 단순화하고 제한 규정을 완화해 다중이용시설의 영업금지 조처를 최소화하자는 것이다. 새 규정이 적용되면 수도권은 지난해 11월 이후 8개월여 만에 거리두기 단계가 낮아지게 된다.

정부가 새 대책을 내놓은 배경에는 백신 접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안정적으로 관리되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들의 누적된 피로감을 덜어주고 줄폐업 위기에 처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의 절박한 사정도 참작한 것으로 보인다. 백신 접종자는 4개월도 안 돼 1천500만명을 넘어섰다. 전체 인구 대비 29%로, 3명 중 1명꼴이다. 정부는 수험생과 교직원, 50대 이하 전 국민 접종이 본격화하는 7월 3주 전까지 2차 접종에 집중하기로 했다. 20일 현재 누적 확진자는 전날보다 429명 증가한 15만1천149명이다. 지난 1주일간 확진자는 1일 평균 400명 선을 유지하고 있다.

정부는 새 개편안이 적용되는 만큼 코로나 재확산을 막기 위해 방역역량을 극대화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코로나가 번질 수 있는 불안 요인이 여전하다는 게 방역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전체 확진자의 70% 이상이 집중된 수도권에서는 교회와 직장 등을 매개로 집단 감염이 이어지고 있다. 19일 하루에만 111명이 발생한 경기도에서는 교회 모임과 물류센터, 레미콘 업체 등에서 확진자가 발생했다. 비수도권에서도 일상생활을 연결고리로 한 감염 확산이 산발하고 있다. 백신 접종이 늘고 있으나 인도발 변이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유럽에서 급격한 재확산이 진행되는 점도 변수다.

정부의 새 개편안 적용에는 순조로운 백신 접종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백신을 맞아야 모두가 안전하다는 인식 아래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접종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아울러 전 국민이 집단면역을 형성하기 전까지는 마스크 착용과 거리두기 등 방역지침을 지켜야 한다. 거리두기는 완화됐으나 긴장의 끈을 놓아선 안 된다. 코로나 재확산을 막기 위한 국민들의 생활방역이 더 중요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