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옥.jpg
정동옥 인천교통공사 철도안전팀장
2003년 발생한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는 192명이 숨진 대한민국 역사에서 가장 인명피해가 컸던 철도사고이며, 철도종사자들에게도 큰 충격을 준 사건이었다. 그로부터 18년이 흐른 지금 철도 안전관리는 어떻게 바뀌었을까.

철도안전관리에 대한 정책은 2005년에 철도안전법이 제정되며 제도적·형식적으로 강화됐다. 하지만 더욱 체계화한 철도안전관리가 시행된 것은 2014년 철도안전법이 개정돼 '철도안전관리체계 승인제도'가 도입되고 나서부터였다. 

 

철도안전관리체계 승인제도는 철도 운영 및 시설관리 기관이 법에 따라 철도안전관리체계를 갖추게 하고, 이를 검사·승인한 후 해마다 유지 여부를 지속해서 관리하는지 정기검사 또는 수시검사를 실시하는 정책이다. 이를 통해 사전적이고 예방적 철도 안전관리를 확보한다는 취지다.

또한 정부는 철도운영기관이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경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경영진부터 현장 철도종사자까지 철도 안전문화를 확산시키고자 매년 철도 안전관리 수준을 평가해 오고 있다.

인천교통공사, 안전관리 '전국 최우수' 불구
작업중 철도종사자 실수로 사고 줄지 않아


인천교통공사는 오랜 노력 끝에 철도운영기관과 시설관리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철도안전관리 수준평가'에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 2년 연속 최고점을 획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철도 안전관리만큼은 인천교통공사가 국내 철도운영기관 중 가장 우수함을 입증했다.

하지만 정부에 의한 일련의 철도안전 정책이 시행되고 철도안전 수준도 큰 폭으로 향상되었음에도 작업 중 철도종사자 실수에 의한 사고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여전히 다소 '민망한' 사고와 장애가 발생한다는 것은 철도안전관리체계의 시행 절차에 구조적으로 부족한 점이 있음을 반증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다.

도시철도 탈선사고와 충돌사고 등 심심치 않게 들려오는 불안한 뉴스는 시민에게 반갑지 않은 소식임에 틀림이 없다.

이는 철도안전관리체계가 아무리 잘 구축되고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더라도 현장의 철도종사자 한 사람 한 사람이 맡은 바 책임을 다하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 되고 마는 이유이다.

도시철도의 안전을 확보하고 사고나 장애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시설, 차량 등 물적 요소와 철도종사자, 시민 등 인적요소 그리고 이들 요소를 종합적·체계적·유기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철도안전관리체계가 필요하다.

그중에서도 현장의 철도종사자들은 시민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철도 안전의 최전선에서 시설물 유지관리, 차량정비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또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할 경우 안전하게 조치하고 복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안전 확보위해 모든 요소 체계적 관리 필요
인재개발원 신설 현장 교육·업무 숙달 주력


인천교통공사도 현장의 철도 안전을 이행하는 위치에 안전인력을 증원하고, 이들의 현장 이행력을 높이기 위해 독립적인 인재개발원을 신설해 교육훈련을 강화하고 업무를 숙달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다.

더불어 효과적인 철도 안전관리를 위해 기본 중의 기본인 철도안전관리체계를 반드시 이행하고, 체계상의 기록과 경험을 토대로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하여 제도, 이행방법, 기술 등을 개선해 나가고 있다.

앞으로도 인천교통공사는 철도안전관리체계의 현장 철도종사자 이행력을 확보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철도 안전은 반드시 담보돼야 하며, 철도 안전의 시작과 끝은 사람이다.

/정동옥 인천교통공사 철도안전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