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박해심·장재혁·박래웅 교수팀
당뇨병 발생 차이 없어 치료 안전성도 확인

 

아주대병원 박해심, 박래웅 교수팀

고지혈증 치료제인 '스타틴'이 천식 악화 위험 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천식은 만성 기도 염증이 특징인 호흡기 질환으로 발생과 경과에 다양한 기전들이 관여한다. 최근에는 비만뿐 아니라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성 증후군도 천식의 증상 조절과 예후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졌으며, 스타틴이 장기적으로 천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아주대병원 알레르기내과 박해심·장재혁 교수팀과 의료정보학교실 박래웅 교수팀(박철형 연구원)은 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을 지속적으로 복용한 천식 환자 545명과 그렇지 않은 환자 545명을 10년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팀은 두 환자군을 대상으로 천식악화, 천식 관련 입원, 2형 당뇨병·고혈압 발병 위험도, 염증 지표의 변화 등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고지혈증으로 스타틴을 지속해서 복용한 천식 환자군은 복용하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천식 악화의 위험은 29%, 중증 천식 악화의 위험은 43% 낮은 것을 확인했다. 또 두 환자군에서 천식의 주요한 원인인 호산구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지만, 대표적 염증 지표인 C 반응 단백질과 면역글로블린 E,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팀은 스타틴이 천식을 악화시키는 염증과 깊은 연관이 있는 호산구에 영향을 주진 않지만, 이외 다른 염증 조절 기전을 통해 천식 악화에 영향을 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스타틴이 2형 당뇨병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번 연구에서 두 환자군에서 당뇨병 발생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천식 치료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장재혁 교수는 "서로 별개의 질환으로 여겨졌던 고지혈증과 천식 간 연결고리를 입증했다"며 "더 나아가 고지혈증 치료제인 스타틴이 성인 천식 환자의 악화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는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