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왕 오매기지구 도시개발사업의 공공주도 개발을 촉구하며 의왕도시공사의 현금 출자동의안을 부결한 의왕시의회 더불어민주당(2023년12월8일자 6면 보도)이 자당 국회의원과 함께 설 명절 직전 경기도지사 간 간담회를 극적으로 추진했다. 그러나 국민의힘측은 경기도에서 사업 추진의사가 있다면 의왕시의 개발계획안을 토대로 협약 체결에 이은 사업시행을 촉구하고 나서는 등 오매기지구 도시개발사업 추진이 총선을 앞두고 지역 이슈로 부상될지 주목된다.

앞서 이소영 국회의원과 서창수·김태흥·한채훈 시의원은 지난 8일 김동연 지사를 만나 오매기지구 개발사업 추진 경과를 공유하고, GH(경기주택도시공사) 주도의 탄소중립 주거단지 조성을 건의했다.

이들은 해당 개발사업이 민선 7기 당시 시와 GH 등에 의한 공공통합개발방식으로 계획했으나, 민선 8기에선 민관합동 PFV(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방식으로 추진 중인 상황인 것을 김 지사에게 소개했다. 그러면서 타 지구 사례와 같이 개발이익의 과도한 민간 귀속과 낮은 수준의 공공기여 등은 물론, 각종 특혜 시비를 낳을 것을 우려한 부정적 여론이 높은 상황이라는 견해도 전했다.

이 의원 등은 “GH 주도의 공공개발을 통해 녹색건축물 보급, 에너지 기회소득 창출 등을 위한 친환경 탄소중립 주거단지 시범모델로 추진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김 지사는 “조만간 도와 GH, 의왕시, 의원측이 함께 논의할 자리를 만들겠다”고 적극 검토 의사를 피력했다.

이에 시의회 국민의힘측은 반발했다. 김학기·노선희·박혜숙 시의원은 15일 성명을 내고 “자신의 21대 총선 공약을 스스로 부결하더니 이번 총선을 앞두고 다시 추진하려는 저의는 무엇인가”라며 “백운밸리·장안지구 개발사업은 공공기여로 많은 기반시설을 확보하고, 의왕도시공사와 민간 투자자 간 개발이익 균등 배분 등 모범사례로 평가돼 성남 대장동 사업과 명백히 대비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민선 7기 당시 GH 주도의 개발계획은 기반시설 확충 등의 문제점이 확인돼 민선 8기에선 약 29만㎡ 규모 사업에서 약 46만㎡ 규모로 사업지구를 확대했고, 기반시설도 공공기여로 대폭 확충하는 등 당초 개발계획안과는 내용에 있어 큰 차이가 있다”며 경기도와 GH 등이 개발사업 추진의사가 있을 경우 의왕시의 개발계획안을 바탕으로 즉각적인 협약 체결 후 사업 시행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