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중앙버스전용차로 등 간선급행버스체계(BRT·Bus Rapid Transit) 확대 정책에 시동을 건다.
인천시는 올해 하반기 ‘인천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 용역’을 시행할 방침이라고 30일 밝혔다. 인천시는 해당 용역 사업비를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한 상태로, 인천시의회에서 예산이 확정되면 BRT 구축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BRT는 버스 운행 속도를 높이고 정시에 도착하도록 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우선 도로 중앙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해야 BRT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국내에서는 서울시와 부산시 등이 시내 주요 도로를 대상으로 BRT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현재 인천지역 버스전용차로는 3개로 청라~강서BRT, 청라국제도시 내부를 운행하는 GRT(Guided Rapid Transit·유도고속차량), 가로변 버스전용차로 등이다. 인천시는 민선 3·4기 시절 시내 주요 간선도로에 중앙버스전용차로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추진했지만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고, 2013년 청라~강서BRT만 개통했다. BRT를 도입하려면 기존 차로를 조정해야 하고 ‘교통 정체’ ‘차선 변경 혼란’ 해소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인천시는 그간 교통 환경이 달라졌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는 BRT 구축이 타당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선도적으로 BRT를 도입한 서울시와 최근 교통체계를 전면 개편하며 BRT를 도입한 부산시 등의 사례를 비춰봤을 때 BRT 효과가 상당하다는 게 인천시 분석이다. 인천시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 건립으로 교통 수요가 늘어나는 점을 고려해 BRT를 구축하는 등 대중교통 체계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인천시는 BRT가 트램(노면전차) 등보다 사업 기간이 짧고, 사업비가 상대적으로 적어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도시철도나 향후 인천에 들어설 GTX(수도권광역철도) 등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가 가능하고, 신속성·정시성을 향상시켜 시민 편의를 높일 수 있다는 점도 인천시가 BRT를 확대하려는 이유다.
버스업계도 중앙버스전용차로 도입을 인천시에 요청하고 있어 BRT 확대 정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인천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최근 열린 ‘인천시 중앙버스전용차로 TF 회의’에서 부평·계양대로, 경원대로, 남동대로 등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해야 한다는 자체 용역 결과를 인천시에 제출했다.
인천시는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지정해 나가면서 이 가운데 ‘BRT 선도 사업’ 구간을 정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의 동서축, 남북축을 비롯해 GTX 노선 등 여러 가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중앙버스전용차로 도입 노선을 찾아보려 한다”며 “전체적으로 살펴본 후 우선순위를 정해 순차적으로 BRT를 확충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