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남양주·의정부·양평·가평·연천·양주… 9월 최종 부지 선정
경기도가 의료 인프라가 열악한 동북부 지역의 의료여건 개선을 위해 추진하는 '경기 동북부 공공의료원' 유치전이 7개 시·군의 경쟁으로 치러지게 됐다.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15일 마감된 '경기 동북부권 공공의료원 설립 후보지 수요조사'에 동두천, 남양주, 의정부, 양평, 가평, 연천, 양주 등 7개 시군이 신청서를 제출했다.

경기 동북부 공공의료원 설립은 김동연 지사의 공약으로 동북부 의료 인프라 확충을 위해 400병상 규모의 공공의료원을 짓겠다는 계획이다.
사업 대상지 중 의정부시를 제외하고 상급종합병원이 없기 때문에 공모에 참여한 일부 지자체들은 의료 취약지의 공공성 확대를 강조하면서도 부지 무상 임대 등을 제안해 경쟁력을 강화했다.
남양주시는 호평동 백봉지구 내 3만3천㎡ 부지 무상 임대를 제안하며 부지 매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동두천시도 대진의료재단과 협약을 통해 제생병원 부지를 무상 임대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양주시는 접근성을 강조했다. 시가 제안한 옥정동 582-6번지 일대가 제2외곽순환도로 등이 연결돼 북부권역을 30분 내로 묶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 밖에 가평, 연천, 의정부, 양평 등 지자체는 범국민 서명 운동을 비롯해 의료 취약지 주민들의 염원을 피력하면서 의료원 유치전에 참여했다.
도는 민관이 참여하는 의료원 설립 심의 위원회를 구성해 오는 9월 말까지 최종 부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현재 위원회 구성 마무리 단계며, 오는 8월부터 첫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그전까지 도는 부지확보를 중점으로 한 예비평가, 교통 편리성·공익성·지역 내 의료기관 여부 등 환경적 요인을 중점으로 한 1차 정량평가를 진행할 전망이다.
다만 의료원 설립을 위해서는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야 하는데 현재 정부 기조가 공공의료원 설립에 소극적이기 때문에 이 또한 해결해야 할 과제다.
울산과 광주의 의료원 설립 사업은 지난해 기재부 예타 대상에 올랐지만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정지돼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올해 10월까지 혁신형 공공병원 모델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며 "(용역 결과에 따라) 미래의 늘어나는 의료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병원 모델을 제시하면 예비타당성조사에서 경제성 효과가 드러날 것이다. 동북부 공공의료원 설립은 계획된 일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선기자 ze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