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_2.jpg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이 비교적 성공적인 평가를 받고 있지만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경인일보DB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이 소비자들에게 관심을 받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변화가 모색돼야 한다. 이에 경기도도 올해 배달특급 예산 상당 부분을 투입해 배달특급의 자생력을 키워, 새로운 성장 발판을 마련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올해 배달특급에 편성된 도 예산은 총 80억원이다. 이 중 디지털플랫폼 정착 및 활성화 예산이 무려 70억원에 달한다. 지난 2년간 배달특급 서비스를 30개 시·군으로 확대하면서 서비스 구축 예산이 전체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지만, 앞으로는 서비스 활성화에 주목한다는 게 도와 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의 계획이다.

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는 올해 다양한 신사업을 추진하고 소비자한테 제공하는 기능을 다양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광고 등 다양한 부분에서 수익을 창출해 소비자와 소상공인한테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할 계획이다.

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 관계자는 "유통 등 다양한 외부 브랜드와 협업을 통해 외연을 확장해 홍보와 수익성을 동시에 잡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국 각지 공공앱 '홀로서기' 못해
경기도, 기능 다양화·수익 창출…
소상공인에 재투자 '선순환' 목표


배달특급 외에도 현재 전국 지자체들이 앞다퉈 출시한 공공배달앱들도 민간 배달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민간시장에서 경쟁력이 떨어져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고 예산에 의존해야 한다는 점은 모든 공공배달앱이 가진 한계이기 때문이다.

2020년 3월 출시한 군산시 '배달의 명수'는 지난해 한 차례 시스템 개선을 추진했다. 단순 음식배달앱을 넘어 동네슈퍼와 로컬푸드, 원데이클래스 등 온라인 쇼핑 플랫폼으로 전환한 것이다.

충청북도는 민간배달앱 '먹깨비'와 협약을 맺어 민관협력형 공공배달앱을 운영하고 있다. 기존 민간앱이 가진 역량을 기반으로 배달 시장에 뛰어들면서 공공배달앱 서비스 구축 예산을 절감했다.

이 밖에도 광주 위메프오, 부산 동백통, 대구 대구로, 서울 광진구 광진나루미 등 전국 각지에서 공공배달앱이 달리고 있다.

지자체들은 민간 배달앱이 독점하면서 생긴 폐해를 공공배달앱이 막고 소상공인을 돕는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강조한다.

공공배달앱을 운영 중인 한 지자체 관계자는 "공공배달앱이 민간시장에서 절대 다수가 될 수는 없지만, 하나의 대안으로 민간배달앱 독과점에 따른 폐해를 상쇄하는 부분이 있다. 단순하게 민간과 비교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반면 전문가들은 공공배달앱 취지에 공감하면서도 지자체 예산만으로는 치열한 민간시장에서 살아남기 힘들다며, 수수료 직접 지원도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 관련기사 3면([배달특급, '윈윈전략' 찾아라·(下)] 전문가 제언)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
 

00_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