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청원’은 1만명 이상의 경기도민이 서명하면 경기도지사가 직접 답하는 제도다. 하지만 정작 도지사가 직접 답을 해도 만족하지 못하고 불만을 토로하는 경우가 늘고 있어 논란이다. 지난 7일 ‘경기도는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에 힘써주세요’라는 청원에 대한 도지사 답변에도 불만이 속출하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해당 청원은 김동연 지사가 GTX 플러스 공약만 우선시한다며 경기남부광역철도의 필요성을 역설한 내용이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GTX 플러스 노선만 우선순위 사업으로 선정했다는 일각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 경기도는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경기남부광역철도가 들어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답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원 등 지역 커뮤니티에선 “우선순위 3개 중에 경기남부광역철도가 들어가는지만 얘기하면 되는 것 아니냐”, “도민들 상대로 말장난하는 것 같다”는 등의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불만 증폭의 원인은 청원 답변 후에도 문제가 명확히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민선 8기가 시작된 2022년 6월부터 지난해까지 경기도 청원에는 총 4천188건이 접수될 정도로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 중 도지사 답변 요건인 1만명 서명을 넘겨 답변이 완료된 청원도 16건이다. 그러나 실제 정책 등에 반영된 청원은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착공’, ‘동백신봉선 추진’, ‘부천 동물원 내 동물 전원’, ‘경기도 한의약 전담부서 설치’ 등 8건이다. 나머지 8건은 경기도 권한으로 해결이 어렵거나 타 기관과의 협조가 필요한 내용이라 미반영되거나 보류한 경우다.
대부분의 청원은 정부 지원이 필요한 철도 연장 등 교통과 이해관계가 부딪히는 민원 성격의 내용이 다수여서, 아무래도 도지사 답변이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도지사의 ‘도돌이표 답변’만 나오고 있고, 이에 대한 불만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특히 도지사 답변이 직접 도민들과 대면하는 것이 아닌 서면 답변으로 전해지다 보니 형식적인 답변 내용에 대한 불만도 클 수밖에 없다. 김 지사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처음으로 답변 요건을 넘었던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착공’ 청원을 제외하곤 모두 서면으로 답했다. 당장 해결책이 없는 청원일수록 서면 답변이 아니라 경기도가, 또는 도지사가 직접 청원인 등을 현장에서 만나 소통하면 어떨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경인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