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여 일 앞으로 다가온 6·3 대선의 대진표가 전직 경기지사 간 ‘경기더비’로 매칭됐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후보자 정보 중 공통점은 주요 경력이 ‘경기도지사’로 기재돼 있다는 것이다. 이재명 후보는 민선 7기 경기도지사를 지냈고, 김문수 후보는 앞선 민선 4·5기 도지사를 역임했다. 개혁신당의 이준석 후보의 지역구도 화성 동탄임을 감안하면, 이번 대선의 장이 경기도를 무대로 펼쳐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국 최대 광역자치단체를 이끄는 경기도지사에겐 언제나 ‘대권 잠룡’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도지사직을 수행하면서도, 언제나 중앙정치권에서 대선에 앞서 이름이 거론됐고, 대선 출마를 운명처럼 택했다. 실제 민선 체제 출범 후 재임한 경기도지사 7명 중 민선 2기 임창열 전 도지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대권에 도전했다. 그러나 그동안 모두 문턱에서 실패를 맛봤다. 이 때문에 경기도지사 직은 ‘대권의 무덤’이라는 말까지 나왔고, 미신에 기댄 ‘저주론’을 주창한 호사가들도 있다.
21대 대선은 상황이 다르다. 거대 양당의 후보 모두 경기도지사 출신이고, 당선자 역시 이 두 명의 후보 중 결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재명 후보는 성남시장 재직 시절 대선에 한차례 도전한데 이어, 민선 7기 도지사 임기 도중인 2021년 7월 대선 도전을 선언해 본선까지 진출했지만 윤석열 대통령에 밀려 낙선했다. 이후 절치부심 끝에 삼수 도전에 나섰다. 김문수 후보도 재선 도지사 재임 시절인 2012년 4월 대권에 도전했지만 ‘박근혜 대세론’을 넘지 못했다. 이번에 무려 13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대선 재수에 도전하게 됐다.
두 후보 모두 경기도지사를 지냈기에 경기도 사정을 누구보다 잘 안다. 이재명 후보는 도지사 시절 지역화폐·기본소득 체계를 확립해 확산시켰고, 김문수 후보도 GTX 및 무한돌봄 정책 등의 주춧돌을 쌓았다. 균형발전이라는 미명 아래 이뤄지는 수도권 역차별, 낙후된 접경지 개발 및 주민에 대한 보상, 반도체·바이오·모빌리티 산업 육성 등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경기지역에 대한 대선 어젠다이기도 하다. 경기도민들은 믿고 있다. 누구보다 경기도를 잘 아는 경기도 출신의 후보들이 대선 주자가 된 만큼, 이들이 경기도가 가진 고통과 설움을 등한시하지 않을 것임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