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21일 백중사리 때 덕적도 진리항 인근 해안도로와 주택가가 침수된 모습. 2024.8.21 /독자 제공
지난해 8월 21일 백중사리 때 덕적도 진리항 인근 해안도로와 주택가가 침수된 모습. 2024.8.21 /독자 제공

서해안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인천 섬 지역 범람 대비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실제로 지난달 29일 대조기 때 덕적도 북리항 해안도로의 방호벽 턱밑까지 물이 차올랐다. 지난해 백중사리에는 주택 내부까지 침범해 밤새 물을 퍼내야 했다. 바다가 코앞인 섬 주민들은 올해도 침수 피해가 재현될까 노심초사다.

서해안의 해수면 상승 속도는 동해안과 남해안보다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의 조위 관측 자료를 보면, 1989~2014년 해수면 연평균 상승폭은 2.48㎜였다. 해역별로는 서해안 1.31㎜, 동해안(울릉도 제외) 2.67㎜, 남해안 2.05㎜였다. 관측기간을 1989년부터 2023년까지 늘리면 상황이 달라진다. 해수면 연평균 상승폭은 3.06㎜로 올라간다. 이 기간 서해안 상승폭은 3.2㎜로, 동해안 3.05㎜, 남해안 2.6㎜를 추월했다. 특히 인천 지역의 해수면 상승이 도드라지는 것은 심각한 대목이다. 인하대 씨그랜트센터의 조위 관측지점 분석지표가 고스란히 증명한다. 영종대교 8.6㎜(2015.12~2022.11), 인천항 6.53㎜(2015.12~2023.1), 송도신항 8.5㎜(2015.12~2023.9), 영흥도 4.88㎜(2015.12~2023.8)로 평균을 크게 웃돈다.

인천시는 올해 하반기까지 제2차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방조제 등 침수예방 시설물의 설계 기준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으로는 ‘50년’ 빈도 해안재해에 대비할 수 있는 높이로 기준이 상향된다. 시는 43㎝(2070년 이후)까지의 해수면 상승에 대응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앞선 제1차 종합계획에서 저감대책이 수립된 지역은 모두 48곳, 관련 사업비는 총 747억원에 달했다. 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상당수 사업이 시행되지 못했다. 어렵게 만들어놓고 실행되지 않는다면 거창한 종합계획도 무용지물이다. 지난해 8~9월 섬 지역의 동시다발 침수를 막지 못한 이유다.

인천지역은 유·무인도 100개가 넘지만 해수면 변화 추이를 정확히 알 수 있는 모니터링 자료가 거의 없다. 섬별로 세부 위험요인 파악조차 어렵다. 관련 연구가 부족한 것도 문제로 꼽힌다. 시는 중앙정부와 함께 섬의 상황에 따라 맞춤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침수 피해를 입고 나서야 시설을 개선하는 뒷북 대책에서 탈피해야 한다. 백중사리 침수 악몽을 올해도 되풀이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