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남성층 주요 공략대상 부상
진보정당 불출마도 원인중 하나
‘18대’ 박근혜 등 4명 출사표 최다
지난 2007년 제17대 대선 이후 18년 만에 여성 후보 없는 대선이 열리게 되면서, 주요 정당의 후보들마저 여성 의제 언급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에 이번 대선에서 여성 정책이 뒷전으로 밀릴 수도 있다는 여성계의 우려가 나온다.
12일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제21대 대선에 출마한 공식 후보 7명중 여성 후보는 단 한 명도 없다. → 표 참조

지난 2012년 제18대 대선에서는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통합진보당 이정희 후보(중도 사퇴), 무소속 김소연 후보, 무소속 김순자 후보 등 여성 후보가 배출된 바 있다.
제19대 대선에선 정의당 심상정 후보가 유일한 여성 후보였으며, 제20대 대선의 경우 정의당 심상정 후보와 진보당 김재연 후보 등 2명의 여성 후보가 나섰다.
18년 만에 여성 후보가 없는 대선이 열리면서, 자연스럽게 여성에 대한 정책이 대선 공약에서 줄어든 모습이다.
이재명 후보와 민주당은 이번 대선 국면에서 여성 정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당내 경선에서도 ‘비동의강간죄 개정’이나 ‘낙태죄 개선 입법’ 등을 주장한 김동연 경기도지사와는 다르게 여성 의제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이는 2030세대 남성층의 낮은 지지율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조국혁신당·진보당 등 원내 진보 정당에서 이재명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불출마한 것도 여성 의제가 줄어든 원인으로 지목된다.
원내 진보 정당에서 유일하게 대선 후보로 나선 진보당 김재연 후보는 지난 9일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이 후보 지지 의사를 밝힌 바 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아직 구체적인 여성 공약을 발표하지 않은 상태다.
이준석 후보의 경우 지난 대선에서도 뜨거운 감자였던 ‘여성가족부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우기도 했다.
다만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10대 공약 중 여성을 위한 공약으로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을 내세우며 여성 의제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권김현영 여성현실연구소 소장은 “이번 탄핵광장에서 2030 여성들은 중요한 정치적 행위자였지만, 정작 대선 후보 중 여성후보가 한 명도 없는 점은 큰 문제”라며 “경력 단절 여성의 재취업 문제, 디지털 성범죄 문제 등 중요한 여성 의제가 많다. 이러한 부분을 후보자 토론이나 언론의 질문 등을 통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