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도 같은 신성장 동력 구상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함께 주목
‘탄소중립 실현’ 기후위기 대응 연계
한전 적자 등 예산 확보 난항 예상
대선 주자들이 에너지 분야 공약으로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을 내놓으면서 해상풍력·태양광·배터리 등 재생에너지 관련 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1970년 경부고속도로 개통으로 국내 중화학산업이 발전한 것처럼 재생에너지 인프라를 확충해 한국 경제의 신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10대 공약 중 전력·에너지 분야 공약으로 각각 ‘에너지 고속도로’를 발표했다. 이 후보는 2030년까지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를 먼저 완성하고, 2040년까지 U자 형태의 한반도 에너지 고속도로를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4일에는 조선산업 육성 방안을 발표하며 “에너지 고속도로 프로젝트를 조기에 추진해 해상풍력 선박의 내수 시장을 키우겠다”고도 했다.
김 후보 역시 관련 공약으로 에너지 고속도로·국도·지방도를 연결해 재생에너지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을 내놨다. 에너지 전력망을 도로처럼 연계해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쓰일 수 있도록 인프라를 만들겠단 구상이다.
대선 후보들이 일제히 에너지 고속도로를 10대 공약에 반영한 것은 탄소중립 실현과 함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후보가 조선 산업과 에너지 고속도로를 연계한 것도 이 같은 이유다.
에너지 고속도로가 깔리면 해상풍력을 통해 생산된 전력의 수요가 늘어나고, 자연히 해상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거나 유지·보수하기 위해 투입되는 전용 선박 필요성도 커진다. 국내 조선업계가 해상풍력 선박 건조 기술을 발전시키면 글로벌 해상풍력 선박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김 후보도 재생에너지 인프라를 통해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 신기술 육성 계획을 국민의힘 경선 당시 밝힌 바 있다. 즉 에너지 고속도로는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을 분산하는 인프라를 넘어 새로운 먹거리 산업을 창출할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신성장 동력을 찾아야 하는 대선 후보들이 공을 들일 수밖에 없는 분야다. 또 화석연료 기반 에너지 비율을 낮추고 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해 기후위기 대응 정책과 연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다만 에너지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예산 확보가 관건이다. 두 후보 모두 공약에 전력 송전망 재원 조달 방안을 밝히지 않았는데, 국내 전력망 구축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전력의 경우 적자가 계속되고 있어 국가 예산만으로 추진하기엔 쉽지 않을 전망이다.
■ 에너지 고속도로
해상풍력·태양광 등 전국의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을 고속도로처럼 하나의 전력망으로 연결해 전력이 필요한 곳에 연결하는 인프라다.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전력을 만들던 기존의 에너지 생산 방식에서 벗어나 탄소 중립을 실현하고, 지역 간 전력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