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 중계방송을 지켜보고 있다. 2025.5.18 /연합뉴스
18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 중계방송을 지켜보고 있다. 2025.5.18 /연합뉴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김문수(국민의힘), 이준석(개혁신당), 권영국(민주노동당) 대선 후보는 18일 오후 8시 서울 상암 SBS 스튜디오에서 열린 TV 토론 첫 순서부터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저성장 극복과 민생경제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한 경제 분야 토론은 초반부터 뜨거운 분위기 속에 진행됐다.

권영국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준비 의혹을 거론하며 “그로 인해 자영업자·소상공인의 경제활동이 단절됐고 민생이 무너졌다”고 주장, 김문수 후보를 향해 “자격이 없다”고 포문을 열었다. 이에 김문수 후보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은 잘못된 판단”이라며 “알았더라면 말렸을 것”이라고 인정했지만, “내란 여부는 재판을 통해 결정될 문제”라고 반박했다. 권 후보는 “헌법재판소가 8:0으로 위헌을 결정한 사안”이라며 김 후보의 자격 문제를 거듭 제기했다.

이준석 후보는 이공계 출신의 리더십을 강조하며 AI 산업 정책을 두고 이재명 후보를 압박했다. 그는 이재명 후보가 제안한 ‘전 국민 AI 활용 정책’에 대해 “재정 소요만 12조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구체적인 실행 주체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정부와 민간의 공동 개발로 자체 AI를 보급하겠다”며 “국민이 전자계산기처럼 무료로 AI를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반박했다.

정년 연장 문제에서도 이견이 분명히 드러났다. 이재명 후보는 “정년 연장이 청년 일자리와 반드시 충돌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으나, 이준석 후보는 “청년 일자리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며 반론을 제기했다.

김문수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최근 ‘커피 원가 120원’ 발언을 문제 삼으며 “업계가 분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해당 발언은 2019년 원재료값 예시일 뿐이며, 인건비와 시설비는 제외된 수치”라고 해명했다.

노란봉투법(노동자 손해배상 제한법)을 두고도 김문수 후보는 “헌법과 민법에도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고, 이재명 후보는 “대법원 판례와 ILO 권고에 부합한다”며 추진 의지를 밝혔다.

한편 이재명 후보는 첫 토론에서 이준석, 김문수 후보의 전방위 공세에 응대하느라 발언 시간이 부족한 모습을 보였으나, ‘트럼프 시대의 통상 전략’과 ‘국가 경쟁력 강화 방안’ 등의 토론에서는 다시 활발한 발언으로 주도권 회복에 나섰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