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 중계방송을 지켜보고 있다. 2025.5.18 /연합뉴스
18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 중계방송을 지켜보고 있다. 2025.5.18 /연합뉴스

제21대 대통령선거에 출마한 이재명(더불어민주당), 김문수(국민의힘), 권영국(민주노동당), 이준석(개혁신당) 후보는 18일 밤 서울 상암 S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 TV토론회에서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한 공약을 제시하며 각자의 정책 비전을 밝혔다.

이날 토론은 오후 8시부터 2시간 동안 진행됐으며, 후보들은 추첨 순서에 따라 공약을 발표했다.

이재명 후보는 먼저 “세계 경제가 어렵다고 하지만 유독 대한민국 경제가 더 어렵다”며 현 정부의 경제정책 실패를 비판했다. 그는 “마이너스 성장이라는 것이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라며 “윤석열 정부의 무능과 무책임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AI 중심 첨단 기술산업에 대한 정부 투자 확대 △재생에너지 산업의 신속한 육성 △문화산업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등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정부가 책임지고 성장동력을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번 째 발언권을 얻은 김문수 후보는 “경제 판갈이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우선적으로 규제 혁파를 핵심 전략으로 내세우며 “규제혁신처를 신설해 규제를 상시 관리하고 철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AI 시대에 맞춘 전력·인프라 확충 △원자력 산업 생태계 복원 △전기요금 인하 △GTX 전국 확충을 통한 교통복지 실현 △산업 클러스터 지역 확장과 기업-대학-연구소 연계 강화를 주요 공약으로 제시했다. 또한, 반도체·미래차·AI 등 미래 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제시했다.

권영국 후보는 “이제 국가경쟁력의 관점을 바꿔야 한다”며 “산재 사망률, 자살률, 노인 빈곤율 1위인 이 나라를 과연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느냐. 재벌 퍼주기, 부자 감세가 아니라 서민과 노동자를 위한 국가가 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준석 후보는 “대한민국이 다시 성장하려면 규제를 과감히 깨부숴야 한다”며 스타트업 환경 조성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제 완화를 주장했다. 그는 “AI에 100조 원 투자하겠다면서 농촌 기본소득에 연 수조 원을 쓰겠다는 것은 우선순위를 혼동하는 것”이라며 이재명 후보를 겨냥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지도자는 자원의 한계를 인식하고 무엇에 투자할지 명확히 선택해야 한다”며 “다 해주겠다는 말은 결국 아무것도 못 해준다는 뜻”이라고 지적했다.

이들 후보는 이같은 국가 경쟁력 강화 공약을 제시하고 상호 주도권 토론에서 심도 있는 토론을 이어갔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