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제작 지원

꼭꼭 숨어도 다 찾는다… ‘공직 비리’

 

수감 부담 완화, 종이 문서 없는 감사 도입

학교주도형 내실화로 책무·자율성 강화

‘전문성 향상’ 공무원 직무연수 등도 실시

 

익명제보시스템 활성화 ‘숨은 비리’ 발굴

제보자 비밀 보장… 포상금 지급도 활용

경기도내 교육기관의 감사를 총괄하는 경기도교육청 감사관은 ▲사업중심의 선택·집중 감사를 통한 책무성과 공공성 강화 ▲자율과 책임 중심의 학교 종합감사 컨설팅 감사 전환 ▲감사의 전문성 향상을 통한 감사 신뢰도 제고와 부담 경감 ▲적극 행정 지원과 일하는 공직 분위기 조성 등을 올해 자체감사 추진방향으로 잡았다.

자율과 책임 중심의 컨설팅 감사 전환과 관련해 도교육청 감사관은 일선 교육현장의 감사 수감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종이 문서 없는 감사를 도입한다. 필수 감사 항목 선정을 통해 감사 업무를 경감하고 단위학교의 책무성 및 자율성을 강화하는 학교주도형 감사 내실화를 꾀한다.

감사기획 및 수행 역량 강화로 자체감사기구의 신뢰도 제고를 위해 도교육청 감사관은 신규 감사담당자 대상 감사기본과정 개설을 추진한다. 본청과 지역교육지원청 간 감사담당자에 대한 권역별협의회를 제도화해 자체 감사기구 간 연계 협력을 포함 개선과제 발굴, 조사기법 및 감사사례 공유 등을 통해 소통협력체제를 구축한다. 찾아가는 교육지원청 감사업무 지원 컨설팅 운영으로 감사지원을 강화한다.

적극 행정 지원을 통한 일하는 분위기 조성을 위해 도교육청 감사관은 사전컨설팅 확대와 적극행정 면책사례 발굴 및 홍보를 통해 감사에 대한 인식개선에 나선다. 감사 관련 적극행정 우수공무원을 선발하고 이들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해 동기부여를 할 방침이다.

감사담당 공무원 직무연수도 올해 도교육청 감사관의 주요 업무 중 하나다.

도교육청 감사관은 자체감사기구의 전문성 및 독립성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공공감사 체계 구축과 감사 실무 전문성 향상을 통한 자체감사 활동 내실화 등을 위해 감사담당 공무원 직무연수를 실시한다.

지난달 감사 담당자에 대한 연수가 열리고 있다. 지난 3월 경기도교육청남부연수원에서 감사 담당 공무원 직무 연수가 열리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제공
지난달 감사 담당자에 대한 연수가 열리고 있다. 지난 3월 경기도교육청남부연수원에서 감사 담당 공무원 직무 연수가 열리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제공

지난 3월에도 이천시에 위치한 경기도교육청 남부연수원에서 도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감사담당 공무원 100여명을 상대로 직무연수를 실시했다. 도교육청 감사관은 감사 역량의 실질적 배양을 위한 현장 실무 중심의 연수와 교육지원청 지원 내실화를 위한 소통과 협력의 연수를 지향한다. 쟁점 사안 분임 토의 및 감사 사례 공유 등을 통해 감사담당 공무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연수를 진행할 방침이다.

올해 도교육청 감사관은 8개 교육지원청, 6개의 직속기관 등을 대상으로 종합감사를 실시한다. 도교육청 감사관은 중점사업 위주의 감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올해 도내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주도형 종합감사도 진행된다. 교무학사를 비롯해 일반행정, 회계 등 학교 운영 전반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며 감사 수감 기관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법령상 반드시 지켜야 하는 업무’를 중심으로 필수 감사 항목을 선정해 감사를 진행한다.

복무 감사도 도교육청 감사관의 주요 업무다. 복무 감사는 공무원 신분으로서 품위를 손상하는 등 복무규정 위반이나 비위 사항 등을 감사하는 것이다. 도교육청 감사관은 근무시간 준수, 근무지 무단이탈, 비상연락 체계 유지 등 복무상황과 관련한 것을 포함해 공직기강, 공무원행동강령 위반행위 및 경기교육 불신을 초래하는 각종 비위행위에 관한 사항을 들여다볼 계획이다.

지난달 감사 담당자에 대한 연수가 열리고 있다. 지난 1월 감사 담당 신규자 직무연수가 열리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제공
지난달 감사 담당자에 대한 연수가 열리고 있다. 지난 1월 감사 담당 신규자 직무연수가 열리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제공

도교육청 감사관은 사이버감사시스템도 적극 운영한다. K-에듀파인(클린재정)이나 NEIS(사이버감사) 등 사이버감사 기능 메뉴를 적극 활용하고 금융거래와 에듀파인 장부 비교도 실시한다. 이를 통해 감사 요구자료를 최소화해 수감기관의 업무 경감을 돕는다.

도교육청 감사관은 공익제보센터 운영과 공직비리 익명제보시스템 활성화를 통해 도내 교육 기관에 숨어있는 비리를 찾는다. 교육기관 소관 사무와 관련한 공익침해행위가 있다면 온라인, 비실명 대리신고, 우편, 메일, 방문 등을 통해 도교육청 감사관 및 교육지원청 감사부서로 연락하면 된다. 이와 관련 상담 콜센터(031-820-0999)도 운영한다.

도교육청 감사관은 공익제보자 보호와 지원제도를 운영해 제보자에 대한 보호에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제보자 비밀보장을 비롯해 불이익조치 금지, 책임감면, 변호사 상담 및 대리신고 지원을 하고 공익제보위원회 심의·의결 후 구조금, 보상금, 포상금을 지급한다. 연 2회 정례적으로 도교육청 공익제보위원회를 운영해 공익제보자 보호·지원 사항과 관련한 심의 및 권고를 한다.

이밖에 도교육청 감사관은 많은 제보를 유도 및 발굴하고 청렴한 공직문화 조성을 위해 공직비리 익명제보시스템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을 홈페이지에 탑재해 제보자가 시·공간 제약 없이 모바일을 통해서도 제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철저한 익명성도 보장한다. 제보자의 익명성 보호를 위한 로그인 및 본인인증 절차를 생략한다. 적발된 사례는 언론 보도를 통해 관련 비위 행위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하고 개인 제보가 비위 행위 적발로 이어진다는 인식을 확산한다.

도교육청 감사관 관계자는 “감사관은 감사 수감 기관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자율과 책임 중심의 컨설팅 감사로 전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이 기사는 경기도교육청의 지원을 받아 취재했습니다.

/김형욱기자 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