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 작품상과 감독상을 거머쥔 '양들의 침묵'(1991년) 후속편. '글래디에이터'의 리들리 스콧 감독. 앤터니 홉킨스, 줄리안 무어 주연. 미 박스오피스 3주 연속 1위. 영화를 보던 관객이 졸도하는가 하면 갑자기 괴성을 지르며 다른 관객을 구타했다는 외신보도. '한니발'(28일 개봉)은 이렇게 궁금증을 증폭시켜 왔다.
 10년전, 감옥속 살인마 한니발 렉터 박사의 도움으로 연쇄살인범에게 납치된 상원의원의 딸을 구출해내 명성을 얻은 FBI 특수요원 스탈링(줄리언 무어). 그러나 지금은 아기를 안고있는 마약사범을 총으로 쏴 문제를 일으키는등 FBI의 골칫덩어리가 돼 버렸다. 이런 스탈링에게 한니발(앤터니 홉킨스)의 희생자 가운데 유일한 생존자인 메이슨이 접근하면서 한니발과 스탈링간의 미묘한 관계가 부활한다.
 '양들의 침묵'은 인육을 먹는 한니발 렉터 박사와 연쇄살인범을 쫓는 스탈링간의 미묘한 관계를 통해 일상뒤에 감춰진 중산층의 공포를 그렸다. '한니발'은 전편처럼 한니발과 스탈링간의 불안정한 관계를 중심에 놓고 있지만 그 관계를 끌고나가는 방식은 상당히 다르다. '한니발'의 대부분은 복수심에 불타는 메이슨과 한니발간의 대결이고 한니발과 스탈링간의 관계는 후반부에서야 비로소 응집력을 갖는다.
 리들리 스콧 감독은 메이슨과 한니발간의 대결을 매우 우아하게 끌고나간다. 불구가 된 메이슨은 대저택에서 한니발을 원격 추적하고, 중세풍의 유럽 도시로 도망친 한니발은 어둠속에서 단테를 읊조리고 오페라를 감상한다. 스릴러풍의 메이슨과 한니발간의 격돌은 쫓는 자와 쫓기는 자가 선명하게 드러난 관계로 정교한 맛이나 긴장감은 덜하다.
 '한니발'의 핵심 코드는 역시 '엽기'다. '양들의 침묵'과 비교해 긴장감은 상대적으로 떨어지지만 '엽기'는 훨씬 강화돼 극장문을 나선뒤에도 한참이나 혐오감이 가시지 않을 정도다. '엽기'가 본색을 드러내는 시점은 붙잡힌 한니발이 메이슨의 대저택에 끌려오는 후반부. 송곳니를 드러낸 식인 멧돼지가 살아있는 사람의 머리를 으깨는가 하면 두부가 절개된 사람은 멍청한 표정으로 피를 흘리며 횡설수설한다. '뇌 요리' 장면(국내 개봉시는 까맣게 모자이크 처리됨)은 '엽기'의 절정이다.
 교활하고 빈틈없은 살인마 그 자체인 앤터니 홉킨스의 오싹한 눈빛까지 '한니발'은 섬뜩함의 극단까지 나아간다. 하지만 영화에는 그냥 잠궈두기엔 아쉬운 의문들이 많다. 한니발은 왜 인육에 집착하는지, 한니발의 광기는 단지 유희인지, 아니면 깊은 이유가 있는지, 메이슨으로부터 한니발을 구출해낸 스탈링은 정의감에서 그런 것 인지, 아니면 한니발에게 다른 감정이 있는 것인지…. 한니발의 광기및 스탈링의 태도에 대한 이해를 구하지 못한 영화는 '엽기'만 도드라져 보인다.
/金淳基기자·island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