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권에서 대통령선거와 총선의 단골공약으로 제기되고 있는 경기 분도(分道)에 대해 도민들은 대부분 관심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찬성보다는 반대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분도 반대이유는 시기상조라는 견해가 높았으며 찬성의견에는 행정불편 해소를 우선적으로 지목했다.
이는 경인일보가 창간 42주년을 맞아 여론조사기관인 케이엠조사연구소에 의뢰, 지난달 28~29일 이틀간 인구비례할당 및 체계적 추출법에 의해 도내 20세이상 성인남녀 99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결과(신뢰수준 95%, 표본오차 ±2.2%)이다.
경기도를 남도와 북도로 나누는 분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39.2%가 '모르겠다'고 밝혔으며 반대의견은 33.0%, 찬성은 27.8%로 집계돼 반대의견이 다소 많은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계층에서 분도 필요성을 전혀 공감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찬성의견은 북부권, 자영업, 부유층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반대 견해는 남부권, 청년층, 농·축·임업, 서민·중산층에서 응답률이 높았다.
분도를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26.1%가 시기상조라고 응답했으며 기득권층의 부익부 가중(19.0%), 위상약화(17.2%), 비용증가(10.4%), 자연훼손(7.7%), 기타(16.3%)등 다양한 의견이 개진됐다.
반면 분도 찬성이유는 행정불편해소가 46.4%로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가운데 지역 특색발전가능(22.1%), 균형발전(19.6%), 교육열세극복(4.7%) 등 순으로 나타났다.
◆ 경기도 분도 여론조사
각종 선거때마다 북부지역에서 핫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경기도 분도(分道)에 대해 경인일보와 케이엠조사연구소의 공동여론조사결과는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분도론은 지난 92년 대선때부터 불거지기 시작, 15대(96년)·16대(2000년) 총선과 97년 대선후보들도 북부권 표를 의식, 공약으로 채택하는등 지난 10년간 정치권내에서만 공론화가 이뤄졌다.
경기도 분도문제와 관련, 북부지역에 한정돼 여론조사가 실시된 적은 있으나 전도민을 상대로 의견을 묻기는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손학규 지사는 지난 '6·13' 지방선거 당시 이 문제와 관련, '시기상조'임을 분명하게 밝혔으나 정치권은 올 연말 대선에서 또다시 표심을 얻기 위해 분도문제를 거론할지 주목된다.
경기도를 남도와 북도로 나누는 분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설문조사에 '반대한다'는 의견이 33.0%로 '찬성한다(27.8%)'는 의견보다 5.2%포인트 많았다. 그러나 '모르겠다'는 의견이 39.2%로 가장 높아 아직까지는 도민들의 관심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같은 결과는 정치권의 끊임없는 분도론 주장이 북부권에서만 어느 정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으나 대다수 도민들에게는 아직까지 필요성을 전혀 느끼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모르겠다는 의견은 51세 이상의 장년층(45.8%), 수원시(45.8%), 성남시(51.0%), 경기남부(43.1%), 전업주부(44.8%), 고졸이하(41.4%), 서민층(41.5%)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됐다.
분도를 반대한다는 의견은 35세 미만의 청년층(36.0%), 안양시(45.9%), 경기중부(45.0%), 경기동부(40.6%), 농·축·임업(42.2%), 서민층(37.7%), 중산층(37.6%)에서 강세를 보였고 분도를 찬성한다는 의견은 경기북부(40.7%), 자영업(33.8%), 부유층(35.5%)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분도를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이냐는 물음에 시기상조가 26.1%로 가장 많은 가운데 기득권층의 부익부 가중 19.0%, 위상약화 17.2%, 비용증가 10.4%, 자연훼손 7.7%, 기타 16.3%등으로 집계돼 다양한 의견이 개진됐다.
이중 시기상조를 꼽는 계층은 청년층(31.1%), 수원시(47.8%), 학생(39.1%), 서민층(35.0%)에서 상대적 우위를 기록했으며 기득권층의 부익부를 가중시킨다는 의견은 성남시(30.4%), 부천시(23.9%), 부유층(27.3%)등에서 평균치를 웃돌았다.
반면 위상약화를 지목하는 계층은 농·축·임업(36.8%)에 종사하는 사람과 경기남부(26.9%)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분도를 찬성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6.4%가 행정불편해소를 꼽았으며 다음으로 지역특색발전 가능 22.1%, 균형발전 19.6%, 교육열세극복 4.7%, 규제완화 가능 1.4%등 순으로 조사됐다.
행정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분도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51세 이상의 장년층(56.5%), 고양시(78.8%), 자영업(57.1%), 서민층(52.3%)에서 절반을 넘어섰다. 이는 경기 제2청에 대한 행정권한을 대폭적으로 이양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다.
지역특색 발전이 가능하다는 견해는 청년층(30.1%), 안양시(53.8%)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지역균형발전론은 경기북부(25.7%), 부천시(27.6%)등에서 기준치를 넘었다.
[경기도 분도 여론조사] 도민 39.2% "分道 무관심"
입력 2002-09-04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2-09-04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