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공단이나 교육기관 등에 설치된 소형 소각로의 운영상태가 엉망이다. 상당수 기관들이 태워서는 안되는 폐기물을 소각하는가 하면 관리자들은 운전조건 등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소각로를 운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사실은 「쓰레기문제 해결을 위한 인천시민운동협의회」가 최근 인천지역 소형소각로 보유 사업장과 초·중·고교 등 2백45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밝혀졌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소형 소각로의 경우 폐지나 폐목재만을 태우는 것으로 승인을 받았으나 전체의 27%가 비닐이나 플라스틱, 스티로폼 등을 소각하고 있다.

또 각급 기관들중 2차연소실이 없는 곳이 43.3%, CO·CO2측정장비가 없는 곳이 61.9%에 이르는 등 소각로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함께 소각로의 운전온도를 850℃ 이상 올려 완전연소에 가깝게 운영하는 곳은 14.5%에 불과했다. 나머지 소각로는 적정온도 이하여서 불연소로 인해 대기오염 물질을 과다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밖에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소각재엔 유해중금속이 함유돼 있어 지정폐기물로 관리해야 되나 30.9%가 일반폐기물(청소차)로 처리하고 있으며 8.9%는 자가매립처리하는 등 부실하게 관리하고 있다.

협의회 관계자는 『사업장별 관리체계보다는 오염방지시설을 갖춰 관리가 가능한 권역별 중형규모의 소각시설을 1개씩 설치해 운영·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李喜東기자·dhl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