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검단신도시의 입주시기가 내년 3월부터 본격화할 예정이지만 도로, 하수종말처리장 등 기반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아 교통대란과 집단민원이 우려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검단지역에 동시다발로 진행중인 7개 구획정리사업지구의 입주시기가 내년 초로 다가옴에 따라 도로 등 기반시설 미비로 인한 각종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시는 서구 검단지역의 난개발을 방지한다는 차원에서 검단 1·2지구 등 7개 구획정리지구 145만6천평에 4만1천500여세대 12만명을 수용하는 도·농 복합형태의 전원단지 조성을 지난 2000년부터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당장 내년 3월 원당지구 300세대를 시작으로 아파트 입주가 본격화할 예정인데도 검단의 주요 간선도로 개설이 늦어지면서 교통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시는 12개의 도로개설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금곡동~김포시계간 폭 20m, 길이 4천600m의 도로 등 3건은 사업비조차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또 보상을 추진하고 있는 도로가 3건이고, 원당지구~불로지구간 도로 등 2건은 이제야 설계중이다.
내년 3월 첫 입주를 앞두고 있는 원당지구의 경우 인근 쓰레기수송로와 연결되는 폭 20m, 길이 650m의 도로개설이 늦어져 가스관조차 매설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연일 입주 예정자들의 항의성 민원이 쏟아지고 있다.
시는 최근 검단지역에 대한 관련부서 대책회의를 통해 원당지구~쓰레기수송도로, 원당지구~당하지구간 폭 40m, 길이 1천40m의 도로를 조기에 개설할 수 있도록 올 추경예산을 편성할 때 90억원을 반영하기로 했다. 문제는 보상협의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아파트입주시기에 맞춰 도로개통이 어려워 입주자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특히 시는 서구 수도권매립지 3공구 북단 10만1천460㎡의 터에 하루 4만t의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검단하수종말처리장을 민자유치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민간투자사업 제안서를 제출한 지 3년이 지나도록 우선협상대상자와 실시협약조차 맺지 못한 상태다.
이 때문에 시는 하수종말처리장을 건설할 때까지 자체시설을 가동하도록 한다는 방침이어서 자체 오·폐수 시설비 부담을 고스란히 입주자들에게 떠넘길 것으로 보인다.
검단신도시 '未完의 기반시설'… 교통대란·집단민원 우려
입력 2003-07-11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3-07-11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