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아콰리움 사업이 본격 거론된 것은 200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민자사업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시가 추진하던 국립해양박물관에 수족관 개념을 포함시킬 것인지 등 인천시 차원의 다각적인 검토가 있었다. 송도유원지 내 현 부지 이외에도 송도국제도시에 세계적 수준의 수족관을 만든다는 NSC(송도신도시개발유한회사)의 구상이 발표되기도 했다. 시는 미국 자본과 기술력이 주축이 된 송도아콰리움을 제쳐 두고 송도유원지를 택했다. 물론 NSC의 반발도 있었다.

이런 우여곡절 끝에 지난 해 인천아콰리움 사업시행자로 최종 결정된 인천월드아쿠아리움(주)가 결국 시로부터 '퇴짜'를 맞게 된 것이다. 가장 중요한 요인은 운영사를 정하지 못해서다. 인천월드아쿠아리움은 국내 최고의 노하우를 자랑하는 C사를 운영자로 참여시키기로 했다. 그러나 이 C사가 인천아콰리움 사업에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 회사는 서울에서 이미 아콰리움 운영을 맡고 있어 인천에서 까지 별도의 아콰리움 사업에 뛰어들 경우 수익성 담보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인천월드아쿠아리움은 시에 매달렸다. 인천관광공사를 운영자로 해 이 사업을 계속 추진할 수 있도록 시에 요구했던 것이다. 그러나 시는 관광공사가 현금 출자 여력이 없고, 시유지까지 제공하는 마당에 운영까지 맡을 경우 그 위험성이 너무 크다는 지적에 따라 이를 거절했다.

어찌됐든 사업취소 통보를 받게 되는 인천월드아쿠아리움은 시를 상대로 거액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태세다. 설계 등 그동안 들인 투자비 40억여원과 사업이행보증금 45억원 등 약 80억원의 손실을 입게 됐기 때문이다.

시 자체적으로도 4천288만원 정도의 예산낭비가 불가피하게 됐다. 이 사업 초기인 2003년 12월 민간투자사업 업무대행 수수료로 나간 돈이다.

따라서 시는 이 사업을 장기간 준비했음에도 시행사 선정과 타당성 검토 등에서 미진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시행사 선정 과정에서 다각적인 분야에 대해 좀 더 면밀한 검증이 선행됐거나, 아예 이 사업을 포기하고 송도아콰리움을 택했더라면 이런 일이 없었을 것이란 가정도 가능하다.

시가 인천아콰리움 사업을 백지화한다는 것은 송도유원지 개발 방향의 궤도수정을 의미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