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아콰리움 사업이 본격 거론된 것은 200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민자사업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시가 추진하던 국립해양박물관에 수족관 개념을 포함시킬 것인지 등 인천시 차원의 다각적인 검토가 있었다. 송도유원지 내 현 부지 이외에도 송도국제도시에 세계적 수준의 수족관을 만든다는 NSC(송도신도시개발유한회사)의 구상이 발표되기도 했다. 시는 미국 자본과 기술력이 주축이 된 송도아콰리움을 제쳐 두고 송도유원지를 택했다. 물론 NSC의 반발도 있었다.
이런 우여곡절 끝에 지난 해 인천아콰리움 사업시행자로 최종 결정된 인천월드아쿠아리움(주)가 결국 시로부터 '퇴짜'를 맞게 된 것이다. 가장 중요한 요인은 운영사를 정하지 못해서다. 인천월드아쿠아리움은 국내 최고의 노하우를 자랑하는 C사를 운영자로 참여시키기로 했다. 그러나 이 C사가 인천아콰리움 사업에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 회사는 서울에서 이미 아콰리움 운영을 맡고 있어 인천에서 까지 별도의 아콰리움 사업에 뛰어들 경우 수익성 담보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인천월드아쿠아리움은 시에 매달렸다. 인천관광공사를 운영자로 해 이 사업을 계속 추진할 수 있도록 시에 요구했던 것이다. 그러나 시는 관광공사가 현금 출자 여력이 없고, 시유지까지 제공하는 마당에 운영까지 맡을 경우 그 위험성이 너무 크다는 지적에 따라 이를 거절했다.
어찌됐든 사업취소 통보를 받게 되는 인천월드아쿠아리움은 시를 상대로 거액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태세다. 설계 등 그동안 들인 투자비 40억여원과 사업이행보증금 45억원 등 약 80억원의 손실을 입게 됐기 때문이다.
시 자체적으로도 4천288만원 정도의 예산낭비가 불가피하게 됐다. 이 사업 초기인 2003년 12월 민간투자사업 업무대행 수수료로 나간 돈이다.
따라서 시는 이 사업을 장기간 준비했음에도 시행사 선정과 타당성 검토 등에서 미진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시행사 선정 과정에서 다각적인 분야에 대해 좀 더 면밀한 검증이 선행됐거나, 아예 이 사업을 포기하고 송도아콰리움을 택했더라면 이런 일이 없었을 것이란 가정도 가능하다.
시가 인천아콰리움 사업을 백지화한다는 것은 송도유원지 개발 방향의 궤도수정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인천 아콰리움사업 계약해지 배경
운영사 선정실패·타당성 검토 미숙 송도유원지 개발 궤도 수정 불가피
입력 2006-12-25 22: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6-12-26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