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인선 (인천사랑병원 순환기내과 과장)
심장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전신에 필요한 혈액을 공급해주는 인체의 핵심 엔진과 같은 기관이다.

심장은 평생 뛰어도 지치지 않는 강력한 근육을 가지고 있다. 심장의 근육이 규칙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게 하는 전기자극이 심장내에서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 이상의 빠른 심박동을 보이거나 정상 이하의 느린 심박동을 보인다.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전기자극이 발생하여 불규칙적인 심박동을 보이는 것 등을 부정맥이라고 한다.

고령의 환자에서 이전의 심장질환이나 고혈압 등과 동반되어 발생하는 부정맥의 경우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어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젊은 연령의 환자에서도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갑자기 심장마비로 발생하기도 한다. 심장에는 정밀한 전기배선이 심장 근육 전체에 분포하고 있어 한번의 전기자극에 두 심실이 거의 동시에 수축된다. 전기배선에 문제가 생기거나 정상적인 전기배선이 아닌 다른 곳에서 수축이 일어나게 되면서 부정맥이 발생한다.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 심질환과 선천성 심질환, 심근증, 심장판막질환 등이 심장의 전기전달 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는 여러가지 약물과 고도의 스트레스, 과도한 카페인, 술 등의 섭취, 불충분한 수면, 흡연 등이 있을 수 있다. 부정맥은 두근거림과 뇌혈관으로의 혈액 공급 부족으로 인한 어지러움, 발한, 실신 등을 일으킨다. 이러한 증상이 지속될 경우는 가까운 심장내과를 바로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진단과 치료없이 부정맥이 오래될 경우 심장의 기능에 이상을 초래하고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커진다. 두근거리는 증상이나 맥이 불규칙하게 뛰는 것을 느낄 때는 가능한 빨리 심장내과 의사를 방문하여 진단을 받아야 한다. 증상을 느낄 때 근처의 아무 병원이나 방문하여 심전도를 빨리 찍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증상이 있을 때 심전도가 있으면 진단은 쉽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환자 개개인의 증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진단방법은 다양해지기 때문이다.

부정맥은 카페인 섭취를 줄이고, 알코올과 금연 등 부정맥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약물의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 부정맥은 합병증으로 혈관의 혈전을 만들어 중풍이나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또 심장근육을 약화시키거나 급성 심장마비를 불러오기도 한다. 치료를 필요로 하는 부정맥이 발견된 경우 지체하지 않고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안타깝게도 부정맥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심장병 예방을 위해 알려진 일반적인 생활방식의 개선과 함께 환자가 자기가 가진 부정맥이 유발되는 상황(카페인·술섭취, 스트레스)을 알면 그런 상황을 피하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