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교부가 화성 동탄 택지개발지구 인근 목리와 장지리, 청계리 일대 3개지역의 택지개발을 추진하고 있어 교통난과 환경문제등을 무시한 무책임한 정책입안으로 난개발을 부추기고 있다.
특히 택지개발이 추진되는 곳은 영통과 운암등 대규모 택지개발이 완료됐지만 도로망이 갖추어 지지 않아 극심한 교통 혼잡을 빚고 있는 지역으로 또다시 대규모 택지가 개발 될 경우 수도권 남부지역은 엄청난 교통난이 우려되고 있다.
23일 건교부에 따르면 화성 동탄 택지개발지구와 연계한 청계지구와 목리지구, 동지지구(장지리)등 3개 지역에 260만㎡규모의 택지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건교부가 입안중인 택지개발 계획안은 청계지구는 83만6천㎡에 3천600가구 1만800명, 목리지구는 94만7천㎡에 3천800가구 1만1천400명, 동지지구는 81만7천㎡에 3천300가구 9천900명을 수용할 계획이다.
이는 동탄지구(900만㎡)를 포함하면 동탄면 일대에만 1천200만㎡규모의 택지개발이 집중된다.
그러나 화성시는 지난 95년부터 택지개발 지구로 지정된 동탄지구를 포함해 발안지구(20만3천㎡), 향남지구(171만6천㎡), 태안지구(81만3천㎡), 태안3지구(94만8천㎡), 봉담지구(79만7천㎡)등 6개 지구도 수년째 시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탄지역에 집중되는 택지개발로 난개발을 부채질 하게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9월 이들 지역에 택지개발 추진계획이 알려지면서 벌써부터 인근 임야및 준농림지역 토지주 상당수가 아파트 신축이 가능하도록 용도변경을 진행하고 있다.
건교부는 택지개발 입안과 함께 교통난 해소를 위해 죽전에서 안성을 잇는 대체 도로 개설과 운암지구에서 용인시 기흥읍을 잇는 지방도 317호선 확장을 계획하고 있지만 택지개발이 집중될 경우 교통난 해소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이들 지역의 도로망은 1번 국도와 개설이 진행되는 지방도 317호선 밖에 없는데다 경부고속도로도 동탄지구 개발이 완료된 뒤에는 기능이 마비될 것으로 보여 무분별한 개발정책으로 수도권 남부지역은 최악의 교통난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와 화성시는 동탄면에 집중되는 택지개발은 난개발과 교통난 가중으로 지역발전에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동탄 신도시주변 3개지구 또 택지개발 논란
입력 2001-10-24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1-10-24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