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수산식품부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조사한 귀농인 통계 보고서인 '농업경영인력 변동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기도에 정착한 귀농인구는 전체 귀농인구 중 14.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인구가 가장 많은 경북(18.6%)을 비롯해 전남(16.6%), 경남(15.1%)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충북(12.9%), 강원(11.5%), 전북(6.8%), 충남(2.9%)에 비해 많다. 수도권인 경기도가 귀농 정착지로 자리잡아 가고 있음을 방증하는 지표다.
실제 경기도가 조사한 귀농실태에 따르면 도내에 정착한 귀농인구는 2006년 57명, 2007년 89명, 지난해 120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는 무작정 도시생활을 등진 채 시골에 내려와 생활하는 '귀촌' '귀향'개념에서 벗어나 서울 등 도시생활권 내에 위치, 농촌과 도시생활을 함께 영위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귀농 목적으로 이익창출(50.2%)이 가장 높게 조사된 것도 흥미롭다. 귀농이 취미·여가(49.8%) 보다 생계를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경기도는 물류비용 절감은 물론 2천500만명에 이르는 수도권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농업정책과 안창식 농업경영담당은 "타도에 비해 땅값을 비롯해 인건비가 비싸기 때문에 쉽게 귀농을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내 귀농인구가 늘고 있는 것은 교통여건, 접근성 등 2천500만명에 달하는 수도권 시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잘나가는 대기업을 퇴직한 후 포천시 일동면에 정착한 이철학(60)씨의 경우 수도권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수익모델을 제시해 성공한 대표적인 케이스다. "더 늦으면 꾀가 나 못할 것 같아 (귀농을) 결정했다"는 이씨는 "아무리 좋은 수익모델을 제시하더라도 수요자의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며 "지역주민, 지자체 등과 연계해 윈윈할 수 있는 자연발생형 식물원으로 만들어나갈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처럼 경기도가 귀농 정착지로 인기를 끌면서 도는 1인당 매월 120만원씩 지원해주는 '귀농인 농업 인턴사업'을 비롯해 귀농인 창업지원을 위해 2천만원에서 최고 2억원까지 장기저리로 융자해 주는 것은 물론 한국농업대학·고양농협대학· 여주자영농고에서 무료 합숙 귀농교육을 진행하는 등 귀농지원을 위한 각종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포천시를 비롯한 일선 시·군도 시설자금 지원, 영농법 무료교육, 원주민의 멘토링 등 귀농자 지원에 적극적이다. 또 농지임차, 주택수리, 의료, 이사비용, 귀농정착금 등을 지원하기 위한 조례 제정에 박차를 가하는 지자체도 많다.
지금까지 귀농지원조례를 만든 지자체(수도권 제외)가 23곳에 달하는 등 성공 잠재력이 큰 귀농인을 유치하기 위해 농어촌 지자체들이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도 뒤늦게 관심을 보이고 있는 셈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낙후된 경기북부지역의 경우 귀농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기회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앞다퉈 유치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그러나 장점만 보고 경기도에 정착했다가 고전하거나 실패한 사례도 적지 않다. 포천을 비롯해 경기북부지역은 4월말에도 서리가 내리는 등 겨울이 다른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다는 점을 간과해 낭패를 본 사례가 대표적이다.
귀농 실패 요인에는 지역주민들의 배타적 성향이 한몫했다는 지적도 있다.
농림수산식품부 경영인력과 방도혁 주무관은 "귀농을 통한 우수한 인력들이 유입되면서 농가소득과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사례가 많다"며 "경기도가 조금더 적극적인 의지를 갖는다면 상대적으로 낙후된 경기북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