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김진혁기자]경기도내 대표적 오염 하천인 황구지천이 맑은 생태하천으로 탈바꿈한다.
경기도는 올해부터 오는 2013년까지 9천202억원을 투자하는 내용의 '황구지천 수질개선 종합대책'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도의 황구지천 수질개선 종합 대책에 따르면 이 기간동안 황구지천에는 저수지 수질 개선과 하천 복개 구간 복원 등 6건의 생태하천 복원사업에 2천354억원, 하수처리시설 설치 및 개선 보완, 하수관 정비사업 등 하수처리 사업 9건에 4천99억원이 투자된다. 또 하수처리 재이용 등 5건의 물순환구조 개선사업에 987억원, 빗물에 의한 수질오염 저감 사업 5건에 1천762억원이 투입된다.
도는 이와 함께 진위천 유역에 수질오염총량관리제를 도입하고 하천 모니터링 사업과 1사1하천 운동도 활성화 해 나갈 방침이다.
수원, 용인, 평택, 화성, 오산, 의왕, 군포를 거치는 길이 35.9㎞의 황구지천은 하천 유역에 인구가 밀집돼 현재 수질이 '매우 나쁨'을 의미하는 4등급으로 분류돼 있다.
황구지천은 상류의 왕송호수가 농업용수로 사용돼 하천 유지용수 공급 부족으로 하천이 마르고 곳곳에 정체 수역이 형성돼 수질이 악화되고 있고 수원시 일월·서호 등 저수지에서 장기간 정체로 오염된 물이 지천으로 유입돼 여름철 악취 발생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하류에서 합류하는 진위천과 안성천의 수질 악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종합대책이 완료되면 오염 하천의 대명사라는 오명을 쓴 황구지천의 수질이 대폭 개선돼 도심속 맑은 생태하천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검은물 황구지천' 2014년엔 숨쉬는 물
올부터 9200억투입 道 생태하천 복원사업
입력 2010-06-24 23:22
지면 아이콘
지면
ⓘ
2010-06-25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