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김민재기자]인천환경운동연합은 27일 논평을 내고 "홍수피해를 막기 위해 수조원의 세금을 들여 건설중인 경인아라뱃길이 홍수 피해를 막기는 커녕 도리어 홍수를 방치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경인아라뱃길 사업본부측은 하수관거의 구경이 작아 발생한 문제일 뿐 아라뱃길의 홍수방지 기능은 아무런 이상이 없다고 맞서는 등 경인아라뱃길의 홍수피해 방지 기능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는 부평구, 계양구 등 굴포천 유역 저지대에서 홍수로 인한 침수피해가 잇따르자 지난 1992년 굴포천 방수로사업에 착수했고, 지난해 5월 경인아라뱃길로 사업명칭을 변경해 현재까지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굴포천에서 서해까지 길이 14㎞, 폭 80m의 방수로가 건설됐음에도 이번 추석연휴기간 내린 비로 부평, 계양, 서구 등 인천 서북부지역 3천500여 가구와 주요 도로 11곳이 물에 잠기는 피해를 입었다.

환경운동연합은 "방수로는 서해로 통하는 물길을 어떻게 팔 것인가 뿐만 아니라 침수예상지역의 물을 어떻게 배수할 것인가를 모두 고려해 건설해야 한다"면서 "방수로는 100년 빈도의 홍수를 예방하는 규모로 크게 파놓고 우수관거는 10년 빈도의 규모로 방치했다"고 비난했다.

반면 경인아라뱃길 사업본부 측은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비가 쏟아지면서 하수관거의 용량이 넘쳐 침수피해가 발생했다고 보고 있다. 물이 아라뱃길에 정상적으로 유입됐으면 큰 문제가 없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경인아라뱃길 사업본부 관계자는 "아라뱃길이 넘쳤다면 홍수기능을 못한 것이지만 하수관거의 구경이 작아 침수가 일어난 것 아니냐"면서 "하수관거는 아라뱃길 사업단이 아닌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