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강승훈기자]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캠퍼스를 아예 옮겼거나 확장을 추진중인 인천대, 인하대 등 지역 대학의 인근 11공구로 사업 확대 계획이 백지화될 전망이다. ┃위치도

인천시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대기업 유치 활성화를 위해 송도 11공구내 교육·연구 용도의 땅을 토지 활용(안)에서 아예 제외시켰기 때문이다.

4일 인천경제청 등에 따르면 송도 11공구 공유수면은 2016년 3월 준공을 목표로 매립 절차가 한창이다. 전체 면적 6.9㎢ 중 도로, 공원 등 기반시설이 절반을 차지한다. 즉 가용면적은 3.4㎢에 불과하다.


당초 기본계획에 11공구는 10.16㎢ 규모였지만 매립 신청을 거치면서 3분의 1 가량이 줄었다. 국토해양부가 갯벌 보존과 철새 서식지 보호를 주장한 환경단체 주장을 받아들인 탓이다.

이 과정에서 11공구의 개발 밑그림에 대폭 손질이 가해졌다.

재정비 수립 용역이 진행되고 있는 '토지 이용 변경(안)'에서 주택건설용지는 86만4천626㎡로 기존에 비해 전체적으로 5.5% 감소했다. 일반상업과 주상복합은 각각 13만413㎡, 31만6천388㎡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특히 205만2천85㎡였던 산업용지는 118만7천416㎡로 대폭 줄어들었고, 65만8천662㎡ 교육연구용지는 전부 빠졌다.

조류의 대체 서식지가 증가하면서 토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것이 경제청의 설명이다.

그러자 특정 지역대학에서 과거 11공구의 부지 제공을 시가 약속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인천대는 2008년 제2캠퍼스 조성 차원에서 50만㎡를, 인하대는 올해 초 3만3천㎡ 공급을 협약 방식으로 시와 체결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원래대로 약속이 지켜져야 한다는 게 대학의 공통된 목소리다.

더욱이 인천대의 경우 11공구를 염두에 두고 미국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 등 각종 기관과 양해각서를 이미 교환, 입장이 난처하다.

인천대 관계자는 "향후 국제적으로 대학 공신력 실추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현실 가능성을 지닌 다양한 방안을 주문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