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의 지분 매각이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와 여당 일각에서 추진돼 오던 공항공사 지분 매각 논의가 한동안 잠잠하더니 최근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의 국민주 발언을 계기로 찬반론이 확산되고 있는 양상이다. 정치권의 날선 공방이 이어지면서 국민들은 공항공사 지분 매각에 대한 진의를 제대로 알지 못해 어리둥절해 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태생부터 민영화 대상이었다. 지난 1999년 설립 당시부터 정부는 51% 지분을 민간에 내놓을 생각이었다. 그러나 신생 공항은 투자자의 관심을 끌지 못했고 2002년 지분 매각이 보류됐다. 이후 주식상장이 재검토됐지만 시행되지 못했다. 공항공사의 지분 매각 계획이 구체화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08년. 정부가 '공기업 선진화 계획'을 세우면서 공항 지분 49%를 민간에 매각하기로 하고 2009년말 이를 확정했다.

지난해 3월 한나라당 박상은 의원이 인천공항공사법 개정안을 발의, 올 6월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법안심사 소위원회 심의 안건에 포함됐지만 다른 정치쟁점에 밀려 계류중인 상태다.

공항공사 지분 매각과 관련해 정권 실세와 연계된 외국 기업에 넘기려 한다는 근거없는 특혜설에서 부터 국부 유출 주장, 매각 대금의 사용처 논란 등에 이르기까지 국론 분열의 단초가 되고 있다.

국민들은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지난해 3천20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낼 정도로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알짜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는데 정부가 지분을 끈질기게 매각하려는 진짜 이유가 무엇인지 모르겠다는 분위기다.

인천공항의 경영 및 운영 효율, 재정 확충 등을 위해 지분 매각에 찬성하는 목소리에는 한나라당 일부 의원 및 청와대, 기획재정부와 국토해양부, 이채욱 공항공사 사장과 간부급 직원, 항공사를 비롯한 공항내 상주기관 등이 있다. 반대의 목소리는 민주당·민노당 등 야당, 경실련, 공항공사 노조에서 나오고 있다.

공항공사 지분 매각은 민영화의 탈을 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정부가 49%의 지분을 매각한다는 구상이어서 이를 민영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인지를 분명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일부 지분매각'이라고 한다면 매각 대금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 등에 대해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투명한 행정이 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꼬집는다.

/차흥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