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티웨이 항공이 정규 노선인 일본노선에 진출함으로써 국내 저가항공 5개사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모두 7개사가 국제선에 투입되고 있다.
저가항공사들은 우선 국제선 진입이 쉬운 우리나라와 항공자유화 협정을 맺은 동남아 국가에 진출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항공자유화 협정을 맺은 동남아 지역은 태국과 말레이시아, 베트남과 캄보디아 그리고 미얀마와 라오스 등 6개국이다.
이 가운데 항공 수요가 제일 많은 태국에 국내 7개 항공사가 취항하고 있다. 태국 방콕의 경우 1일 17편의 국내항공사 및 태국항공사들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다른 지역의 경우 항공자유화 이후 항공 수요에 따라 취항을 검토하고 있으며 특히 베트남과 캄보디아에는 조만간 저가항공사들도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이 와중에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와 항공자유화가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보여 이 노선에 저가항공사 진출을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 블라디보스토크는 한국에서 2시간 운항거리에 불과하고 항공 수요가 많아 현재 대형항공사 취항에 이어 저가항공사들도 진출할 경우 치열한 승객유치전이 벌어질 전망이다.
현재 진에어 등 국내 5개 저가항공사는 소형 비행기로 오갈 수 있는 4시간 이내 거리에만 국제선을 띄우면서 대형항공사와 경쟁을 하고 있다. 서로 노선이 겹치더라도 항공 자유화로 인해 항공 승객이 늘 것으로 기대하면서 노선 확장에 따른 수지분석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국토해양부는 올해 항공자유화로 인한 저가 항공사들의 국제노선 진출을 대비해 동계 스케줄 항공편수를 확정하면서 저가항공사들의 취항 수를 늘렸다.
저가항공사의 동계 운항횟수는 전년도에 주 75회였으며, 이번 동계기간에는 주 152회로 크게 늘렸다.
이는 우리나라 저가항공사들의 동남아 항공시장 선점을 위해 항공자유화 협정이 체결된 국가들에 운항할 수 있는 항공사 수 제한을 폐지하는 등 저가항공사 취항 지원 정책에 따른 신규 취항 노선 확대 조치다.
저가항공사들의 국제선 진출은 국내 여행자들에게는 항공사 선택에 따라 항공요금 인하 효과를 가져와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차흥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