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11 국회의원 총선거 이후 임시국회가 열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지만 법안을 발의했다는 보도자료가 쏟아져 나오고, 지역구 행사 방문 등 동정과 관련된 보도자료도 홍수를 이루고 있다. 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온 지금에서야 지역구 활동에 소홀했다는 것을 깨달은 것처럼 보인다. 특히 지역 민원이나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추진과 관련된 보도자료가 눈에 띈다.
경기 북부의 A의원은 지역구에 대공연장 건립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보도자료를 배포했고, 경기 남부의 B의원은 하루가 멀다 하고 영화관 유치, SOC사업 관련 예산 확보, 노인복지관 건립 예산 확보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있으며, 역시 남부권의 C의원은 연구단지 조성계획을 담은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평소 지역구를 잘 찾지 않았던 의원들도 지역구 내 전통시장을 찾아 전통시장을 현대화해 활성화하겠다고 밝히고, 지역 소상공인연합회로부터 감사패를 받았다며 공치사를 하고, 지역구에서 산불조심 캠페인을 벌이는 등 그간 소홀했던 지역구 일정을 소화하느라 바쁘다. 최근 정치권의 최대 현안이었던 '선거구 획정안'을 자신의 선거운동과 연계시키기도 한다.
선거구 획정 직전까지도 입을 다물고 있었던 경인지역 의원들은 획정안을 담은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처리된 지난달 28일 직후부터 "행정구를 늘려 선거구를 늘리겠다" "선거구획정위를 상설화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다" "재논의해야 한다"는 등의 주장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법안을 발의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임기 막바지까지 국회의원의 본분을 다하겠다는 자세는 높이 평가받을 만하지만 18대 국회가 사실상 종료돼 발의한 법안이 처리될 가능성이 적은데도 법안을 발의하고, 이를 홍보의 수단으로 삼는 것은 진정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