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후보는 부평에서 초등학교와 중·고교를 나온 '진정한 부평사람'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현 정부에서 특임장관실 특임실장과 정무1비서관을 역임했다.
야권단일 후보임을 전면에 부각시킨 홍 후보는 서민의 삶을 돌보지 못한 MB정부 4월 심판론을 앞세웠다. 2009년 재선거를 통해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공통 질문으로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폐지와 지하화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김 후보는 "1969년 개통 이후 지금까지 통행료를 지불한 게 초기 투자금(건설유지비)의 2배가 넘고 통행연한은 이미 초과했다. 향후 국회에서 유료도로법을 개정해 바로잡겠다"고 했다.

홍 후보는 "지역주민의 숙원사업으로 근본적으로 법이 바뀌어야 한다. 해당 상임위에서 계류 중으로 정부와 여당인 새누리당이 의지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책임소지를 돌렸다.
대표 공약을 발표하는 순서에서 이 후보는 국회의원과 소통하고 견제하는 지역유권자 대표기구로 '주민협의회 설립'을, 홍 후보는 4천300억여원이 투입되는 도시철도 7호선 부평구청역에서 석남동 구간의 향후 5년내 개통을, 김 후보 역시 도시철도 7호선 연장과 각종 교통인프라 조기 구축을 피력했다.
상호 주도토론에서, 홍 후보는 김 후보를 향해 "반값 등록금, 무상보육 등 MB 정부에서 복지수요는 갈수록 늘어났는데 예산은 오히려 줄었다. 반면 4대강 삽질사업에 22조원을 투입했고 재정이 부족하다면서 부자감세로 지난 4년간 66조원가량을 깎아줬다"며 국가재정이 악화된 것을 여당의 탓이라고 비난했다.
김 후보는 과거 홍 후보가 FTA국내대책본부장을 맡았던 전력을 들어 현재 야권연대가 추구하는 정책과 다르다고 지적했고, 이 후보에게는 급작스럽게 자유선진당의 당적을 가진 이유를 캐물었다.

다음으로 도시철도 7호선 청라·영종지구 연장에 관한 질문에서 김 후보는 "인천을 넘어 국가발전에 있어 반드시 필요하다. 청라와 영종은 경제자유구역으로 교통편의는 성장동력의 한 축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해 당사자의 이견을 서둘러 해소시키겠다"고 답했고, 홍 후보는 "당초 검토가 이뤄졌던 사항으로 사업타당성이 부족해 장기적인 측면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견해를 밝혔다.

/강승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