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속 이물질 발견 보고가 계속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올해 상반기에 식품 이물질 보고가 2천7건 접수됐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이물질 보고가 의무화 된 지난 2010년 같은 기간보다는 약 44%, 작년 상반기보다는 약 9% 감소한 수치다.
이물질 종류는 벌레가 863건으로 전체의 43%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금속(255건),곰팡이(237건), 플라스틱(131건), 유리(38건) 등의 순이었다.
이물질이 빈번하게 발견된 식품은 면류(381건), 커피(226건), 과자류(164건), 빵·떡류(129건) 등이었다.
당국이 조사를 마친 1천756건 가운데 혼입 경로가 파악된 이물질은 17.8%에 그쳤으며, 나머지는 책임 소재가 가려지지 않았다. 소비자가 협조를 거부하거나 이물질이 분실돼 조사 자체가 이뤄지지 못한 경우도 20.7%나 됐다.
이물질이 섞인 경로는 '유통·소비단계'가 180건으로 '제조단계'의 133건보다 약간 더 많았다.
유통·소비단계에서 들어간 이물 가운데는 벌레와 곰팡이가 86%로 압도적인 비율을 보였다.
특히 배추김치 등 김치류에서는 개구리나 벌레 발견 보고가 눈에 띄었고 굴, 오징어 같은 수산물 가공식품 제조 과정에서는 담배꽁초가 들어간 사례도 여러 건 접수됐다.
생산 단계에서 들어간 이물질은 곰팡이, 금속, 벌레, 플라스틱이 12~18%로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서울=연합뉴스
'김치에 개구리, 수산물에 꽁초가…' 상반기 가공식품 이물질 보고 2천7건
혼입 경로 규명 18% 불과
입력 2012-08-08 10:0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2-08-08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