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서해안 시대를 맞아 '해양수산 중심도시'로 발돋움한다.

경기도는 2020년까지 마리나 확충 등 총 93개 사업에 7천376억원을 투입, '해양수산 중심도시'의 메카로 부상시키겠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기후변화 및 자원고갈 상황에서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그동안 평택·화성·안산·시흥·김포 등에 걸쳐 해안선 길이만 254㎞, 갯벌면적이 168㎢이면서도 사실상 방치돼 있던 바다를 '경기도의 미래 먹거리'로 인식한 데 따른 것이다. ┃관련기사 3면

경기도는 해안선을 활용한 서해안 발전 동력원을 찾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통한 동북아 해양수산 중심도시 도약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경기도는 우선 해양수산의 발전을 위해 '4만불 시대를 선도하는 新경기해양건설'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면서 ▲해양관광산업을 미래핵심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 ▲수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 ▲해양 보전과 이용의 조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해양 구축 등의 목표를 세우고 사업을 세분화해 추진한다. 즉 바다를 통해 생산·문화·환경의 세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는 것이 경기도의 설명이다.

이밖에 급격히 변화하는 국내외 해양수산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새로운 업무를 발굴하기 위해 해양수산과를 해양개발·관광 및 항만개발업무를 수행하는 조직으로 확대개편하는 방안도 추진중이다.

경기도는 이같은 '경기도 해양중장기 발전방안'을 추진하기 위해 지난 5월부터 7개월간 1억여원의 예산을 투입, 경기개발연구원에 연구용역을 진행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방대한 면적의 바다가 경기도 서쪽에 펼쳐져 있는데도 그동안 경기도정 주요 정책에서 다소 벗어나 있던 것이 사실"이라며 "경기도는 국내외 해양수산 환경 및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고 수도권의 이점을 살려 경기도 여건에 적합한 해양수산 중장기 발전방안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경진·강영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