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2일(현지시간) 긴급회의를 통해 북한의 3차 핵실험을 강하게 규탄하고 추가 제재 논의에 신속하게 착수하기로 했다.
김성환 외교장관은 안보리 의장국인 한국 정부를 대표해 발표한 언론 성명에서 "북한 핵실험은 국제 평화와 안보의 명백한 위협"이라고 지적하면서 "안보리 이사국들은 중대 조치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결의 채택 논의에 즉각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유엔 안보리는 지난해 12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와 관련해 지난달 채택한 결의 2087호에서 핵실험 등 추가 도발에 '중대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는 사실을 상기시켰다.
안보리는 "결의 2087호에 명시된 내용과 사안의 중대성 등을 감안해 안보리 결의를 통한 적절한 조치의 논의에 즉각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전 라이스 유엔 주재 미국 대표부 대사는 "북한의 핵실험은 참을 수 없는 도발로, 안보리 15개 이사국들은 북한에 대한 새로운 제재 논의를 즉시 시작한다"면서"북한은 3차 핵실험으로 가중된 고립과 국제사회의 압력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라이스 대사는 문답 과정에서 북한에 대한 금융 제재 여부를 묻는 질문에 "모든 형태의 제재가 논의될 수 있다"며 "안보리가 북한의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을 저지할 수 있는 결의안을 통과시켜야만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안보리는 새로운 결의를 통해 북한에 대한 제재를 추가하고 강화하는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결의안이 최종 확정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것으로 보인다. 또한 새로운 제재의 종류와 강도 등을 결정하는 논의 과정에서 이전처럼 중국의 입장이 변수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 외교부는 핵실험 직후 발표한 성명에서 북한 핵실험에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히면서도 관계 당사국에 냉정한 대응을 주문했다.
지나치게 강력한 결의는 수용하기 힘들다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