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한길 "회의록·부속자료 공개"
새누리당 황우여,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26일 노무현 전 대통령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 NLL 발언 논란과 관련, 'NLL 공동선언 채택'과 '국가기록원 보관 자료 공개'를 제안했다.
그러면서도 여야는 '반역 대통령', '폭군 연산군' 등의 날선 표현을 동원해가며 팽팽한 대치를 이어갔다.
황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최근 민주당 일각에서 'NLL 서해평화협력지대 구상이 훌륭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며 "이것이 민주당 입장인지, 그렇다면 서해평화협력지대에서 NLL은 어떻게 해야한다는 것인지 분명히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 대표는 이어 "민주당은 NLL에 대해 노 전 대통령의 입장과 같은지, 다른지 분명히 국민앞에 밝혀야 할 것"이라며 6월 임시국회에서 "'NLL 공동선언'을 채택하자"고 제안했다.
김 대표는 최고위원회 회의에서 "국정원은 '대선 개입'이라는 국가문란 행위를 덮기위해 법절차를 무시하고 정상회담 회의록을 공개하는 것을 작전하듯이 감행했다"면서 "대통령의 정상회담 발언을 까발리고 비난하는 것은 정상적 국가에선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기회에 NLL 발언으로 인한 소모적 논쟁에 종지부를 찍는 게 바람직하다"며 "국가기록원에 보관된 남북정상회담 회의록과 그 부속자료를 국회법 절차에 따라 공개하자"고 제안했다.
이처럼 양당 대표가 논란 해소 방안을 제시하는 사이 여야의 최고위원들을 중심으로 격한 표현을 오가는 비방전이 펼쳐졌다.
새누리당은 노 전 대통령을 "반역의 대통령"이라고 지칭하며 비난했고, 민주당은 박근혜 대통령을 폭군 연산군에 빗대며 반격했다.
새누리당 정우택 최고위원은 이날 "노 전 대통령이 '위원장과 인식을 같이한다', '북측을 변호해왔다', 'NLL을 바꿔야 한다'고 말하는 것을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다"며 "만약 이런 것들이 진실로 밝혀진다면 노 전 대통령은 반역의 대통령이라고 규정지을 수밖에 없다"고 비난했다.
민주당 우원식 최고위원은 "국정원 국기문란 사건을 덮으려 정상외교문서를 공개한 게 정치적인 생명을 유지하려고 사초 열람을 사주한 훈구파의 악랄한 수법과 무엇이 다르냐"며 "이 과정에서 박 대통령이 사주·묵인·방조했다면 연산군과 무엇이 다른가"라고 규탄했다.
이처럼 여야의 격한 대립이 이어지면서 대화록 논란이 본질보다는 감정대립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순기·송수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