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오전9시 코넥스 개장 … 대주이엔티, 랩지노믹스, 메디아나 등 21개 상장기업. 최홍식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이 30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중소기업 전용 주식시장인 코넥스시장 개장 계획 등에 대해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한국거래소 제공
7월 1일 오전 9시 제3의 주식시장 코넥스(KONEX)가 개장한다.

유가증권시장(1983년)과 코스닥시장(1996년)에 이어 세 번째로 출범하는 코넥스는 중소기업 전용 주식시장이다.

성장성은 크지만 기존 주식시장에 상장하기에는 규모가 작은 창업 초기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 주식이 거래된다.

한국거래소는 1일 코넥스 개장식을 갖고 오전 9시부터 주권 매매거래를 시작한다. 코넥스 '상장 1호' 기업은 모두 21개사다.

21개사는 대주이엔티, 랩지노믹스, 메디아나, 베셀, 비나텍, 비앤에스미디어, 스탠다드펌, 아이티센시스템즈, 아진엑스텍, 에스에이티, 에스엔피제네틱스, 에프앤가이드, 엘앤케이바이오메드, 옐로페이, 웹솔루스, 이엔드디, 태양기계, 테라텍, 퓨얼셀파워, 피엠디아카데미, 하이로닉 등이다.

21개 상장사는 바이오(5개사), 반도체장비(4개사), 소프트웨어(3개사), 자동차 부품(2개사) 등 다양한 업종으로 구성됐다.

이들 상장사의 평균 자산총액은 220억원으로 코스닥의 42.3% 규모이며, 매출(286억원)과 순이익(14억원)은 각각 코스닥의 55.3%, 22.5% 수준이다.

매매방식은 30분 단위로 호가를 접수해 매매체결 가능성이 가장 큰 단일가격으로 매매거래를 체결하는 '단일가 경쟁매매 방식'을 채택했고, 100주 단위로 매매된다.

 
 
▲ 1일 오전9시 코넥스 개장 … 대주이엔티, 랩지노믹스, 메디아나 등 21개 상장기업. 중소기업 전용 주식시장인 코넥스의 출범(7월 1일)을 앞두고 벤처업계에서도 관심이 뜨겁다. 중소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녹록지 않은 현실에서 코넥스가 새로운 활로가 될 수 있다는 희망 때문이다. 사진은 지난 3월 14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가 주최한 코넥스시장 상장 설명회에서 참가자들이 코넥스시장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한국거래소 제공
상장기업이 창업 초반의 중소기업인 점, 공시의무가 완화된 점 등을 감안해 투자자는 벤처캐피털, 기관투자자, 3억원 이상 예탁한 개인으로 제한했다.

일반 개인투자자들은 앞으로 자산운용사들이 출시하는 코넥스 상장주식 투자펀드에 가입하는 간접투자방식으로 투자할 수 있다.

중소기업의 상장 활성화와 투자자 보호를 위해 상장기업별로 1개의 증권사와 지정자문인 계약을 맺어 증권사가 사실상의 후원인 역할을 하게 된다.

코넥스시장은 코스닥시장과 프리보드가 중소기업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만들어졌다.

대부분 자금조달을 은행대출에 의존하며 이자비용 부담이 과중해 늘 높은 부채비율에 시달리는 중소기업이 필요한 자금을 원활하게 조달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코넥스 상장 뒤 공신력과 성장성을 확보한 중소기업은 3∼4년 뒤 코스닥시장으로 이전상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게 된다.

진입 문턱과 공시부담을 크게 낮춰 자기자본 5억원, 매출 10억원, 순이익 3억원중 1개만 충족하면 되고, 의무공시 항목도 29항목으로 코스닥(64항목)에 비해 대폭 완화됐다.

시장에서는 비슷한 목적으로 설립된 프리보드의 실패 사례, 수요 대비 매물 부족 우려, 증시 침체 등으로 코넥스가 조기에 안착하며 성공적인 첫발을 내디딜 수 있을지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최홍식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은 "연내에 코넥스 기업들의 평균 시가총액이 300억∼400억원 수준에 이르러 전체 시장규모가 1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며 성공에 자신감을 보였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