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혼잡비용이란 교통체증으로 인해 늘어난 차량운행비와 시간가치의 손실을 금액으로 환산한 것으로, 지난 99년 한햇동안 경기도에서만 9천582억원이라는 막대한 사회적 부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이번 조사는 종전 교통개발연구원의 분석에서 포함됐던 운전사 인건비나 차량의 감가상각비 같은 고정비용을 제외시킨 반면 엔진오일비를 비롯해 연료소모비, 타이어마모비 같은 직접적인 운행손실분을 계산에 포함시켜 실제 시민들이 부담하는 비용에 가깝게 산출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민 1인당 부담하는 혼잡비용은 약 11만원으로 계산됐으며 의왕시의 경우 주민 1명이 연간 55만원, 과천시는 약 33만원씩 비용을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도로 1㎞당 발생액수는 평균 3억2천만원으로, 이중 혼잡도가 극심한 군포시와 안양시의 경우 각각 9억9천만원과 9억4천만원으로 조사돼 이지역 주민들은 말그대로 '길에다가 돈을 뿌린' 셈이 됐다.
 도내 교통혼잡비용은 다른 시·도와 비교해서도 매우 높은 수준이어서 기존 교통개발연구원의 계산방법에 따라 산출한 도내 혼잡비용은 약 3조2천억원으로 서울 4조1천억원보다 다소 낮지만 부산 1조9천억원, 인천 1조2천억원의 2~3배에 이르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도내에서 서울시로의 출퇴근 및 통학인구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됐으며 특히 경기남부지역의 경우 국도1호선 주변의 수원, 안양, 군포, 의왕의 혼잡비용이 도전체의 30%를 차지하고 있어 대체도로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나홀로 차량'의 증가로 전체 혼잡비용 가운데 승용차의 비율이 약 54%를 차지, 승용차 이용자의 증가가 교통혼잡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적됐다.
 뿐만아니라 승용차 증가가 대중교통의 운행속도를 저하시키면서 버스의 혼잡비용이 전체 31%에 달해 강력한 승용차 운행억제와 함께 철도등 다른 교통수단의 확장이 필요한 실정이다.
 도로유형별 혼잡수준도 시·군마다 달라 수원시의 경우 국도가 651억원의 혼잡비를 유발, 시전체의 59%를 차지한 반면 성남시는 고속도로에서 전체 41%인 438억원이 발생해 혼잡비용 원인에 따라 적절한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그러나 이같은 도내 교통상황은 10년뒤에도 크게 나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오는 2011년 도내 도로의 총연장은 약 5천600㎞(99년 4천985㎞)에 달할 계획이지만 교통량과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혼잡비용도 매년 평균 9%씩 늘어나 무려 3조원가량 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수원, 시흥, 용인 등은 2011년까지 연평균 15%이상의 증가율을 보이며 교통체증현상이 쉽사리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됐다.
 이처럼 천문학적 수준의 교통체증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대중교통 활성화 ▲나홀로 차량 등 승용차 이용억제 ▲서울과 연결되는 주요 간선축의 교통용량 확대 ▲시군간 도로와 내부도로망 확충 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보다 정확한 혼잡비용 산출을 위해 GIS(지리정보시스템)등을 이용한 경기도와 서울시 네트워크 구축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李星昊기자·starsk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