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출범후 첫 정기국회가 문을 연지 29일만인 30일 가까스로 정상 운영에 돌입한다.

이날 상당수 상임위를 개최하고 오후에 본회의를 여는 것을 시작으로 12월까지 이어지는 대장정의 일정이다. ┃관련기사 4면

앞서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지난 27일 원내수석부대표 회동을 통해 정기국회 의사 일정에 합의했다.

국회는 내달 1일 기초연금 후퇴 논란과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 아들 의혹에 대한 긴급현안 질의를 시작하고, 14일부터 11월2일까지 20일간 국정감사가 진행된다.

11월 7일부터 이틀간 교섭단체 대표연설이 계획돼 있으며, 12일부터 18일까지 정치, 외교·통일·안보, 경제, 교육·사회·문화 분야 관련 대정부 질문이 열린다.

특히 11월11일에는 내년도 예산안과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대통령 시정연설을 청취할 예정이다.

여야는 의사 일정에 일단 합의를 마쳐 국정 정상화를 이뤘지만 국가정보원 개혁, 기초연금 등 복지 후퇴 문제, 국회선진화법, 채 전 총장 사퇴 압력설 등 민감한 현안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일 것으로 전망돼 국정 정상화 이전보다 더 첨예한 충돌이 일어날 조짐마저 보인다.

또 정부의 2014년도 예산안에 대해서도 민주당은 '공약포기·민생포기·미래포기' 등 3포 예산을 내세우며 예산 전쟁을 선언, 예산 심의 과정에서 공방이 예상된다.

/정의종·송수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