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 창간 68주년 특별기획 '경인일보, 뿌리(대중일보)를 찾다'와 관련, 인천언론사를 재조명하고 지역언론의 현주소를 점검하는 토론회가 당사자인 경인일보가 빠진 상황에서 23일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렸다. ┃관련기사 3면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주최한 이날 토론회에서 일부 주제발표자와 지정토론자는 경인일보가 자신의 뿌리를 대중일보로 선언한 것에 대해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또 지역언론 통폐합부터 언론자유화까지 15년간 인천에는 지역언론이 없었다는 의견을 내세웠다.

경인일보는 경기도 인천에서 경기도 수원으로 본사를 이전했기 때문에 '인천언론'이 아니라는 것이 이들 주장이다. 특히 이들은 경인일보를 지역언론 통폐합의 가해자로 여기는 듯했다.

1973년 유신 정권의 언론 탄압 정책의 책임을 경인일보에 돌리는 듯한 분위기였다. 이런 일방적인 주장에는 경인일보가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인천지역 사회에서 어떤 기능을 했는지는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이희환 황해문화 편집위원은 주제발표에서 "경인일보가 대중일보 존재를 인식하고 뿌리로 삼으려는 것은 높게 평가한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대중일보가 경인일보만의 뿌리냐"며 "지역언론 통폐합으로 인천의 2개 신문사는 폐간의 아픔을 겪었다"고 했다.

대중일보 역사는 인천이 공유해야 할 공공유산으로, 특정 신문사가 독점하면 안 된다는 것이 이번 토론회를 연 시민사회단체들의 입장이다.

대중일보의 '창간 정신'이 공공유산이어야 한다는 입장에 경인일보는 동의한다. 하지만 대중일보 역사는 경인일보의 역사일 수 없다는 견해는 받아들일 수 없다.

1973년 지역언론 통폐합이 유신 정권에 의해 강제로 이뤄진 것은 사실이지만, 이 또한 지역언론사의 일부분이다.

'대중일보는 살아 있는 역사'이어야 한다는 것이 경인일보가 대중일보를 계승한 이유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신문의 제호처럼 '민중'을 전면에 내세워 창간한 대중일보를 '인천'이란 지역적 틀 안에만 가두어서는 안 된다. 또한 화석처럼 죽은 역사로 내버려두어서도 안 된다.

/목동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