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은 기초단체장을 거쳐 국회의원이 되는 통상적인 경로와는 정반대로 '하향 지원'하는 셈이다. 현재 도내에는 새누리당 소속 전직 의원 4명이 경기지역 기초단체장에 도전했고, 1명은 타 지역 단체장에 출마했다.
이들은 1차 관문인 공천심사 과정을 거치고 있는데, 무난히 통과할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성남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신영수 전 의원은 일단 컷 오프를 통과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는 전언이다. 4명 정도 참여할 것으로 전해진 경선을 통과해야만 본선행을 탈 수 있다.
고양시장에 출마한 백성운 전 의원도 지난 19대 공천에 낙마한 뒤 절치부심하며 이번 지방선거전에 뛰어들었다.
백 전 의원 역시 일단 컷 오프는 통과할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과거 공무원 시절 고양군수로 활약한 전력을 내세워 표심을 파고들고 있다.
하남시장을 거친 김황식 전 의원과 박승웅 전 의원도 각각 하남·용인시장에 지원했다.
이 밖에 의왕·과천에서 내리 4선 의원을 지낸 안상수 전 대표는 당초 경남도지사 출마를 생각하다가 창원시장 출마로 급선회했다.
여당 대표를 역임하고 수도권에서 내리 4선 의원을 지낸 정치적 중량감으로 다른 후보들을 압도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새누리당과 달리, 야권에서는 전직 국회의원들의 기초단체장 도전이 많지 않다.
안산에서 초선 의원을 지낸 제종길 전 의원이 안산시장에 출마한 게 눈에 띄는 정도이다.
이 같은 전직 의원들의 하향 지원은 새누리당이 추진하는 '상향식 공천'과 야권이 내세우는 '기초선거 무(無)공천'이 복합적으로 작용, 대중적 인지도로 승부를 걸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정의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