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어 마모 먼지가 미세먼지 확산을 부추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7일 환경부와 수도권대기환경청의 '타이어 마모에 의한 비산먼지 배출량 및 위해성 조사'에 따르면 타이어 마모로 인한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미세먼지(PM10)·초미세먼지(PM2.5) 연간 발생량은 10년 뒤인 2024년 1천833t과 1천283t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2007년 수도권내 건설공사로 인한 미세·초미세먼지 발생량(6천331t)의 절반(49.2%)을 차지하는 수치다.

정용일 환경부 친환경자동차 기술개발사업단장은 자동차가 1㎞를 달릴 때 디젤승용차 배출가스에서 먼지 5㎎이 발생하는 반면, 타이어 마모에 의한 먼지는 100㎎으로 디젤차 먼지보다 20배 더 많다고 지적했다.

친환경차도 예외없이 장착하는 타이어의 오염 파급력이 더 강력한 셈이다. 특히 타이어는 재료 특성상 납·수은·카드뮴·6가크롬·프탈레이트계 물질 등 중금속 오염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일반먼지보다 유해성이 더 크다.

보고서는 2010년 국내 주행거리 자료를 활용해 타이어의 연간 중금속 배출량을 산정한 결과 아연 20만8천739㎏, 납 220.94㎏, 카드뮴 30.39㎏, 6가크롬 27.18㎏, 수은 0.32㎏ 순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은 타이어 제조·수입업자에게 세금을 부과하고, 이탈리아는 타이어를 1개 구입할 때마다 최대 4유로(약 5천500원)의 환경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보고서는 이를 토대로 국내에서도 생산자 책임과 세금 기반 체계 등 폐타이어 관리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신선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