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해운비리 연루 의혹을 받는 새누리당 박상은 국회의원(인천 중·동구·옹진군)의 아들 자택을 최근 압수수색한 것으로 17일 확인되면서 박 의원에 대한 수사가 어디까지 진행될지 주목된다.
박 의원은 해운비리 외에도 자신의 운전기사와 전 비서 등 측근들이 제기한 정치자금법 위반 의혹도 받는 등 진퇴양난의 위기에 처했다.
인천지검 해운비리 특별수사팀(팀장 송인택 1차장검사)은 지난 15일 서울에 있는 박 의원의 아들 자택에 수사관 등을 보내 압수수색을 했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의문의 수억원대 현금 뭉치를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박 의원의 운전기사 A씨는 지난 11일께 박 의원의 에쿠스 차량에서 현금 3천만원과 정책 자료가 담긴 가방을 훔친 용의자로 경찰에 신고됐다.
A씨는 그러나 다음날 현금과 서류 일체를 박 의원의 비리 혐의를 수사 중인 인천지검에 증거물로 제출했다. 박 의원의 정치자금법 위반 증거를 가져왔으니 수사해 달라는 것이었다.
박 의원의 전 비서도 폭로 행렬에 동참했다.
전 비서 장관훈(42)씨는 이날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2013년 4월 비서직을 사직했지만, 박 의원은 서류상 비서직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월급을 본인에게 가져올 것을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장씨는 2013년 5월부터 국회가 매달 지급하는 급여(270여만원) 전액을 직접 출금, 총 8차례에 걸쳐 현금으로 2천382만8천230원을 전달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또 자신의 특보를 인천 계양구의 한 건설업체에 취업시킨 뒤 해당 업체가 '특보 월급'을 대납하도록 한 혐의도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거의 비슷한 시기에 측근들에 의해 박 의원의 비리가 잇따라 불거진 점으로 미뤄볼 때 이들이 사전에 의견을 조율한 뒤 폭로라는 구체적인 행동에 옮겼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검찰의 주 수사대상은 박 의원의 해운비리 연루 의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 의원 수사를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을 담당하는 공안부나 특수부가 아닌 해운비리 특별수사팀에서 주도하는 점이 이 같은 관측을 뒷받침한다.
인천지역에서 18대에 이어 재선에 성공한 박 의원은 대한민국해양연맹 부총재, 바다와경제국회포럼 공동대표 등을 맡으면서 오랫동안 해양수산업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어 왔다.
인천지검이 세월호 사고 이후 특수팀을 꾸리고 해운비리 전반에 대해 수사에 착수하자 검찰 안팎에서는 박 의원의 이름이 가장 먼저 오르내리기도 했다.
이와 관련, 검찰의 한 관계자는 "해운비리와 관련된 혐의로 수사하고 있고 다른 의혹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박 의원은 해운비리 외에도 자신의 운전기사와 전 비서 등 측근들이 제기한 정치자금법 위반 의혹도 받는 등 진퇴양난의 위기에 처했다.
인천지검 해운비리 특별수사팀(팀장 송인택 1차장검사)은 지난 15일 서울에 있는 박 의원의 아들 자택에 수사관 등을 보내 압수수색을 했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의문의 수억원대 현금 뭉치를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박 의원의 운전기사 A씨는 지난 11일께 박 의원의 에쿠스 차량에서 현금 3천만원과 정책 자료가 담긴 가방을 훔친 용의자로 경찰에 신고됐다.
A씨는 그러나 다음날 현금과 서류 일체를 박 의원의 비리 혐의를 수사 중인 인천지검에 증거물로 제출했다. 박 의원의 정치자금법 위반 증거를 가져왔으니 수사해 달라는 것이었다.
박 의원의 전 비서도 폭로 행렬에 동참했다.
전 비서 장관훈(42)씨는 이날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2013년 4월 비서직을 사직했지만, 박 의원은 서류상 비서직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월급을 본인에게 가져올 것을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장씨는 2013년 5월부터 국회가 매달 지급하는 급여(270여만원) 전액을 직접 출금, 총 8차례에 걸쳐 현금으로 2천382만8천230원을 전달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또 자신의 특보를 인천 계양구의 한 건설업체에 취업시킨 뒤 해당 업체가 '특보 월급'을 대납하도록 한 혐의도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거의 비슷한 시기에 측근들에 의해 박 의원의 비리가 잇따라 불거진 점으로 미뤄볼 때 이들이 사전에 의견을 조율한 뒤 폭로라는 구체적인 행동에 옮겼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검찰의 주 수사대상은 박 의원의 해운비리 연루 의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 의원 수사를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을 담당하는 공안부나 특수부가 아닌 해운비리 특별수사팀에서 주도하는 점이 이 같은 관측을 뒷받침한다.
인천지역에서 18대에 이어 재선에 성공한 박 의원은 대한민국해양연맹 부총재, 바다와경제국회포럼 공동대표 등을 맡으면서 오랫동안 해양수산업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어 왔다.
인천지검이 세월호 사고 이후 특수팀을 꾸리고 해운비리 전반에 대해 수사에 착수하자 검찰 안팎에서는 박 의원의 이름이 가장 먼저 오르내리기도 했다.
이와 관련, 검찰의 한 관계자는 "해운비리와 관련된 혐의로 수사하고 있고 다른 의혹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