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NN 등 주요 언론은 1일(현지시간) 최첨단 방역 장치를 갖춘 에볼라 바이러스 환자 호송기가 전날 오후 조지아주 카터스빌을 출발, 라이베리아로 향했다고 전했다.
미국인 환자는 라이베리아에서 에볼라 바이러스 환자를 돌보다 감염된 켄트 브랜틀리(33)박사와 여성인 낸시 라이트볼(60) 등 2명으로, 미국 정부는 두 사람의 치료를 위해 조지아주 애틀랜타 소재 에모리대 병원에 특별 격리병실을 설치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에모리대가 에볼라 바이러스 환자를 맞게 된 것은 방역 담당 부처인 보건부 산하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본부가 에모리대 캠퍼스에 있고, 두 기관 사이에 산학 협력 체제가잘 구축돼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두 환자는 이번 주말 애틀랜타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매우 위중한 상태여서 살아서 미국 땅을 밟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두 환자는 지난달 30일 에볼라 2기 진단을 받았다. 2기가 되면 코와 귀에서 피가 흘러나오고 장기에서 출혈이 발생하며 수일 내 생사가 결정된다.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으로 목숨이 경각에 달린 두 사람의 귀국 소식에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와 인터넷은 "에볼라가 미국에 퍼질 것"이라며 환자 송환에 반대하는 목소리로 뒤 덮였다.
음모론의 대가인 알렉스 존스는 "에볼라가 미국을 강타하면 연방은행이 가혹한 비상권력을 행사할 것"이라며 독재정치의 도래를 주장했다.
에볼라 바이러스가 강타한 미국 사회의 혼란상을 그린 영화 '아웃브레이크'(Outbreak)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1995년에 개봉된 이 영화는 에볼라 바이러스의 숙주가 된 원숭이가 미국으로 수입되면서 미국에 사망자가 속출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를 두고 온라인에선 "영화의 숙주 원숭이가 사람으로 바뀐 것 말고는 상황이 거의 흡사하다"는 주장과 함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비난하는 항의 글이 폭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