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선거 때마다 후보자들이 무차별적으로 유권자들에게 발송하는 선거문자메시지 발송비용까지 정부가 보전하면서 막대한 국비가 낭비되고 있어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8일 중앙선관위와 경기도선관위에 따르면 지난 6월 4일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도내에 출마한 후보자 772명이 공식적으로 선관위에 신고한 선거문자메시지는 1억1천174만여 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후보자별로는 경기도교육감에 출마한 조전혁 후보가 870만건을 신고해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김진표 도지사 후보 840만건, 김광래 도교육감 후보 630만건, 이재정 도교육감 후보 510만건, 최준영 도교육감 후보 400만건, 남경필 도지사 후보 270만건 등 순이다.

이 중 도선관위는 현행 공직선거법에 따라 선거비 보전대상자들이 본선거운동 기간에 보낸 선거문자메시지 발송건수를 확인해 12억3천300여만원의 비용을 보전했다.

현행 공직선거법은 각 후보자들에게 최대 5차례까지 건수에 제한없이 선거운동 문자메시지 발송을 허용하고 있으며, 득표율에 따라 당선자 및 득표율 15% 이상은 전액, 득표율 10% 이상에서 15% 미만의 경우 절반만 지급한다.

이 때문에 각 후보자들은 한번에 수백건에서 수만건씩 무차별적으로 선거문자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

특히 일부 후보자들은 아르바이트를 고용해 마구잡이로 휴대전화번호까지 수집해 불필요한 선거문자메시지를 양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박순영 수원시의원은 "각 후보자들이 대량으로 선거문자메시지를 보내면서 유권자들이 하루에 50~60건씩 선거문자를 받아 심각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며 "정부가 올바른 선거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라도 선거운동 문자메시지에 대한 선거비 보전을 중단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갑자기 선거운동 문자메시지에 대한 선거비 보전을 중단할 수는 없다"며 "정치권과 일정한 시간 동안 논의를 거쳐 개선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종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