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0년 전 사신 벽화가 모사본으로 복원됐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 있는 아프로시압 궁전 벽화 중 고구려 사신 추정 인물이 그려진 벽화를 실물 크기로 모사 복원해 23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공개했다.

1965년 처음 발견된 아프로시압 궁전 벽화는 1300년 전인 7세기 소그디아나 왕국의 바르후만 왕 재위 당시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동서남북 4면에 그려진 높이 2.6m, 가로 11m 크기의 대형 벽화 가운데 서벽 그림 오른쪽 끝부분에 새 깃털이 꽂힌 조우관(鳥羽冠)을 쓰고 고리 모양 손잡이가 있는 환두대도(環頭大刀)를 허리에 찬 인물 2명이 보인다. 이들의 복식과 착용품으로 미뤄 고구려 사신으로 유력하게 추정돼 왔다.

김학준 동북아재단 이사장은 "고구려 연개소문이 당(唐)의 침공에 대비해 소그디아나와 군사동맹을 맺으려고 사신을 보냈다는 것이 대다수 학자들의 추론"이라며 "과거 우리 민족이 오늘날의 우즈베크 지역까지 진출해 군사동맹을 맺으려 했다는 것은 우리 역사에 대해 새롭게 눈을 뜨게 하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 1300년 전 사신 벽화 복원. 동북아역사재단이 23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중앙아시아실에서 우즈베키스탄 아프로시압 궁전 벽화 중 고대 한국인이 포함된 서벽의 그림을 실물 크기로 모사복원하여 공개한 가운데 박물관을 찾은 학생들이 그림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

손상이 컸던 이 벽화는 동북아재단이 우즈베크 국립 사마르칸트 박물관을 지원, 첨단 기술을 투입한 끝에 모사본으로나마 일부 모습을 되찾았다.

재단은 2012년 우즈베크 측과 접촉, 이듬해 7월 벽화 보존·복원을 위한 공동사업을 추진키로 협정을 맺고 올해까지 모사 복원과 디지털 복원작업을 진행, 최대한 원본에 가까운 모사본을 제작했다. 

모사본은 원본 벽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주고자 종이가 아닌 벽면에 그려졌다. 2벌로 제작된 1300년 전 사신 벽화는 아프로시압 박물관과 동북아역사재단이 1벌씩 소장하기로 했다.

재단은 아프로시압 유적과 1300년 전 사신 벽화를 3차원 디지털 영상으로도 복원해 한국어·우즈베크어·러시아어·영어·프랑스어 등 5개국어로 제작, 내년 2월 아프로시압 박물관에 설치되는 디지털 복원영상실에서 상영할 계획이다.

무스타포쿨로프 사마리딘 아프로시압 박물관장은 "아프로시압 벽화는 한국과 우즈베크 관계가 언제 시작돼 관계의 맥을 이어왔는지 알려주는 사료"라며 "한국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벽화 모사본을 제작하고 디지털 복원까지 할 수 있었던 것도 양국 관계가 지금까지 역동적으로 발전한다는 증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