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방송되는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대마도 불상 도난사건을 시작으로 불거진 한·일 양국의 문화재 환수 논란에 대해 알아보고 반환받지 못한 우리 문화재들의 현주소를 고민해본다.
2012년 말, 대구의 한 골동품 상가 밀집지역에서는 '100억 원대 국보급 문화재가 나타났다' '20억에 판다더라' 등의 소문이 떠돌았다.
'훔친 문화재를 판매하고 있다'는 제보를 받아 수사에 나선 경찰은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됐다.
이 도난품들이 각각 ‘관세음보살좌상’과 ‘동조여래입상’으로 일본의 중요한 문화재이며, 몇 달 전 일본 대마도 일대 사찰에서 사라진 불상이라는 것이다.
경찰이 수사를 시작한지 약 두 달 만에 도난 사건의 절도범들이 체포됐다. 검거된 범인들은 8인조로 구성된 도둑들이었다. 경찰은 도둑들이 가지고 있던 184개에 달하는 사찰의 주소가 적힌 수첩을 압수한 뒤, 이들이 범행 몇 달 전부터 사전답사를 거쳐 범행을 치밀하게 준비했다는 사실까지 밝혀냈다.
184개의 사찰을 노렸던 8인의 도둑들은 결국 형을 선고 받았고, 이때까지만 해도 도난당한 불상은 원래의 일본 사찰로 돌아갈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런데 일본 사찰에서 도난당한 '관세음보살좌상'이 충남 서산의 '부석사'에 모셔졌던 불상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부석사 측은 불상의 조성연대를 알수 있는 발원문 기록을 증거로 '불상을 일본에 돌려줘서는 안 된다'는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제기했고, 법원은 부석사의 신청을 받아들였다.
관세음보살좌상을 다시 일본에 돌려줄 수 없다는 부석사의 주장에, 불상을 도둑맞은 일본 사찰 측에서도 강하게 반발했다.
불상의 소유권을 두고 벌어진 한일간의 팽팽한 대립, 과연 관세음보살좌상이 돌아갈 곳은 어디일까? 23일 밤 11시 15분 방송되는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그 진실을 추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