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말 시한인 수도권매립지 사용이 10년 연장됐다. 인천시장, 경기도지사, 서울시장, 환경부장관 등 쓰레기매립지 4자협의체가 지난 28일 제8차 협의회를 갖고 합의한 내용이다. 다만 수도권 3개시·도는 이 기간동안 자기 지역에 대체 쓰레기매립지를 조성해야 한다. 쓰레기 매립지는 어느곳에 있거나 지역민들의 혐오 시설이다. 악취가 풍기고 지하수 오염 등 환경공해 오염원이기 때문이다. 당연히 자신들의 지역에 매립장이 들어서는 것을 꺼릴 수 밖에 없다. 수도권 매립지 사용이 10년 연장 됐더라도 우리 생활속에 쓰레기를 줄이는 노력은 어느때보다 필요하다.

수도권매립지는 서울 난지도 쓰레기매립지가 포화 상태에 이르자 1987년 공유수면을 매립해 현 매립지가 조성됐다. 1992년부터 쓰레기 반입이 시작된 수도권매립지 전체부지는 1~4매립장 1천486만㎡, 환경연구단지 49만㎡, 아라뱃길 남측 89만㎡ 등 총 1천690만㎡ 규모다. 하루 평균 9천200여톤을 처리하는 세계 최대 규모다. 이번 합의에 따라 내년말로 예정된 3-1공구 103만㎡를 모두 사용할때까지 9~10년간 쓰레기 매립이 이루어 진다. 이 기간동안 3개 시·도는 대체매립지를 찾아야 하지만 대체 매립지 조성이 불가능 할 경우 최대 106만㎡의 부지를 추가로 활용할수 있는 길도 터 놓았다.

인천시는 매립장 사용기간 연장을 수용함에 따라 매립지에 대한 실질적인 운영 권한과 경제적 실리도 챙기게 됐다. 환경부와 서울시가 갖고 있던 제1·2매립장과 기타 부지의 면허권이 인천시로 넘어간다. 매립지 공사의 관할권도 모두 인천시로 이관돼 실질적인 운영 주체가 된다. 내년 1월부터 50%씩 인상되는 쓰레기 반입 수수료는 인천시의 주변 지역 환경개선과 주민지원에 활용된다. 이외에도 4자 협의체는 인천도시철도 1호선 검단연장및 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 연장을 비롯 테마파크 조성, 검단산업단지 환경산업 활성화 사업 등 주변지역 개발및 경제활성화 사업에 협조키로 했다. 문제는 남아 있다. 사용 기간동안 포화 상태에 이른 3개 시·도의 대체매립지확보가 현실적으로 가능한지에 열쇠가 달려 있다. 생활쓰레기를 줄이는 국민적 노력도 필요하다. 생활쓰레기의 양적 증가는 낭비의 척도다. 근검절약의 생활화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