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가 청와대 압박 13일만에 사퇴했다. 새누리당은 8일 오전 의원총회를 열고 4시간에 걸친 격론 끝에 ‘책임여부와 관계없이 사퇴해야 한다’는 사퇴불가피 결론을 내렸고 이를 유승민 대표가 받아들여 사퇴한 것이다. 지난달 25일 박근혜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배신과 자기철학 정치는 있을 수 없다는 지적이 있은지 2주만이다. 당·청간의 2주간에 걸친 볼썽사나운 줄다리기가 끝나긴 했지만 유 대표가 사퇴하기까지 새누리당이 보여준 처리과정과 일정은 집권여당으로서의 모양새가 구겨질대로 구겨졌다는 평가다. 자칫 대통령에 대한 항명사태로 비쳐질 수 있을 만큼 국민들에게 불편을 안겨주었던 것도 사실이다. 이 같은 사태를 조기에 매듭짓지 못하고 여론에 끌려 늑장을 부린 것은 국민들에게 좋지 않은 모습으로 남아 있다. 결국 의원총회까지 끌고가 총의에 부치기까지 당론을 마련치 못한 사례도 집권당의 자세는 아니라는 것이다.
유승민 원내대표는 사퇴회견을 통해 자신은 ‘법과 정의, 원칙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고 했다. 그리고 이것이 민주주의와 헌법을 지키는 일이라고 했다. 자신이 버틴 것은 이 같은 자신의 정치철학이 있기 때문이라는 변이다.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은 다한 셈이다. 그러나 그간 자신이 당·청간 갈등의 중심에서 분란의 핵이 됐던 것에 대한 소명으로는 부족해 보인다. 자기 변론에만 집착한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집권당 원내대표의 역할이 국정과제의 원활한 수행과 이를 위한 입법활동에 정진해야 할 책무가 있음을 간과한 것은 아닌지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집권당 원내대표가 당·정·청이 지향하는 정책과 달리 자신의 정치철학에 맞는 길을 택한다면 정당정치의 기본에서 벗어나는 행태다.
이번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태에서 보인 집권당의 친박·비박간 갈등과 실랑이도 국민들에겐 부담스런 정치권의 단면이다. 특히 이번 사태 시기가 온 국민이 메르스와 가뭄으로 인해 불안과 공포로 힘겨워 할때여서 실망감은 더 컸다. 메르스 확산으로 인명이 희생되고 경제가 휘청거리는 어려운판에 집권여당이 반듯한 모양새를 보여주지 못한 것도 국민들에게 답답함을 안겨주었다. 앞으로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행보가 관심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집권여당의 자세가 바뀌어야 한다.
유승민 원내대표 압박 13일만에 사퇴
입력 2015-07-08 20:22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7-09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