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 예정이던 경기북부지역 권역외상센터 개원이 불투명해 졌다는 소식이다. 경기북부지역은 오랫동안 접적 지역이란 이유로 개발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아 낙후된 곳이다. 때문에 문화·교육·의료 등 삶의 질과 연관된 시설들이 빈약할 수밖에 없다. 특히 의료시설은 최근 메르스 사태 등 전염병 방역체계 구축문제뿐아니라 교통 등 지리적 요건을 갖춰야 함은 물론이다. 가뜩이나 의료시설이 빈약한 경기이북지역의 권역외상센터 개원은 시급한 과제의 하나다. 지난해 10월 보건복지부가 도내 두번째로 경기북부지역에 권역외상센터를 선정한 것은 이 같은 맥락에서다. 그러나 경기도의회가 공모 당시 제시했던 도비 지원에 부정적 입장을 표하면서 내년 개원이 어렵게 된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012년부터 중증외상 치료시스템 구축에 대한 계획을 마련, 오는 2017년까지 17개 권역외상센터를 선정 운영키로 했다. 권역외상센터는 중증 외상환자치료시 가장 중요한 초기 시간인 사고후 1시간 이내에 응급수술을 받을 수 있는 최적의 의료시스템이다. 권역외상센터 사업은 국비와 병원 자비로 이뤄지는 사업이지만 경기도는 북부지역의 특수성을 감안, 타 지자체와 달리 50억원가량의 도비 지원의사를 밝힌 것이다. 보건복지부도 이 같은 도비지원 결정을 전제 조건으로 북부권역외상센터를 선정했던 것이다.
그러나 도의회는 순수한 국비와 병원 자부담으로 이뤄지는 사업에 도비지원은 말이 안된다며 지방비 조달계획을 담은 병원과의 협약서 조차 없는 상황에서 특혜 논란을 불러올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로인해 당초 내년 3월까지 국비 80억원, 도비 50억원, 자부담 142억원 등 272억원을 들여 외상전용 시설을 갖춰 개원할 계획이었으나 의회의 반발로 벽에 부딪힌 것이다. 이 때문에 당초 50억원의 사업비를 올 1차 추경에 반영할 방침이 도의회의 반대로 편성조차 못했다. 도는 경기북부지역 외상환자들의 신속한 치료를 위해 권역외상센터의 개원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예산반영이 어려울 경우 병원측의 자부담도 고려할 생각이다. 주민생활과 직결되는 의료시설이 예산에 발목잡혀 개원이 늦어져선 안된다.
개원 불투명해진 경기북부 권역외상센터
입력 2015-07-09 20:16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7-10 1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