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혁신안을 둘러싸고 또 다시 계파갈등이 불거지는 양상이다. 문재인 대표는 선출직 평가위원 구성에서 자신이 권한을 행사하지 않고 혁신위에 맡길 수도 있다는 뜻을 보이는 등 배수의 진을 치고 있다. 문 대표로서는 혁신안이 무산되면 리더십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밖에 없어 중앙위 의결을 반드시 성사시켜야 할 입장이다. 그러나 문 대표의 평가위 구성 권한 이양을 둘러싸고도 비주류는 물론 최고위원 등 지도부 사이에서 이견이 나오고 있다. 주승용 의원 등은 전당대회를 통한 의결을 제안하는 등 혁신안에 반발하고 있다. 혁신안의 골자인 사무총장제와 최고위원제 폐지가 패권정치를 강화하고 당 대표에게 오히려 권한이 집중된다는 것이다. 또한 의견수렴이 배제된 중앙위 의결에 대해서도 부정적이다. 비주류측은 기본적으로 혁신위가 친노 편향이라는 시각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혁신안에 대한 시각도 부정적이다.
새정치연합이 직면하고 있는 주류와 비주류의 갈등은 구조적이다. 새정치연합에게 유리한 정치환경에도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모든 선거에서 패배하고 급기야 새정치연합의 지역적 기반인 호남에서도 패배하는 지경에 처한 이유가 무엇인지 되돌아 보아야 한다. 위기에 처할 때마다 비상대책위가 구성되고 혁신과 쇄신안을 내놓고 시간이 지나면 다시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형태가 반복되고 있다. 국민들은 야당의 반복되는 정치행태에 염증을 느끼고 있다. 급기야 분당과 신당 창당론까지 불거지는 형국이다. 내년 총선을 의식한 계파간 공천지분권의 성격이 있음은 물론이다.
야권이 힘을 합쳐도 여당을 이기기 어려운 상황에서 분열로만 치닫는 야당에게 백약이 무효이다. 보다 본질적인 부분을 고민해야 한다. 사무총장과 최고위원제 폐지와 같은 단기적 극약처방으로 야당의 내홍을 봉합하긴 쉽지 않아 보인다. 혁신안에 대해 반대파의 의견을 수렴하고 당내 기득권을 일정 부분 포기하는 진정성과 실천만이 분열을 막는 길이다. 혁신위가 혁신안을 내놓기 전에 비주류측과 충분히 소통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도 필요하다. 비주류의 반발을 예상하지 못하고 밀어붙이면 된다고 생각했다면 여전히 기득권에 안주하는 패권적 발상이다. 일단 주류의 비주류에 대한 충분한 배려가 절실하다.
야당 혁신 밀어붙인다고 될 일이 아니다
입력 2015-07-13 21:36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7-14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