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도지사가 13일 “경기 서부권은 동부 쪽에 비해 첨단연구기능이 상대적으로 열악해 성장 잠재력이 높은 첨단산업 거점 육성이 필요하다”며 “총 9천400억원을 투입해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 해제지역 내에 약 66만㎡규모의 첨단연구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광명·시흥지역에 판교테크노밸리 같은 대규모 첨단연구단지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도의 이번 결정을 환영한다. 이 지역은 원래 수도권 최대 보금자리주택지구였으나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자금난으로 지구지정이 취소되면서 지역경제 악화는 물론 수년동안 재산권 행사가 불가능해 주민들의 불만이 높았던 곳이다. 여기에 첨단연구단지가 들어서면 그동안 재산상 큰 불이익을 당했던 지역 주민들의 고민이 해결되는 것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도는 이 곳을 국내·외 첨단기업 연구·업무시설, 종사자를 위한 휴식·문화·엔터테인먼트 시설 등이 복합된 공간으로 조성한다고 한다. 연구단지 설계단계부터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시설, 사물인터넷 등도 도입된다. 특히 자동차부품·기계·화학·지능형 로봇 관련 R&D 기능을 도입하고, 창업·기업지원서비스와 근로자 교육교류공간 등을 마련해 판교와 차별화하기로 했다. 도의 예상대로라면 900개사 입주가 가능하며, 직접 고용유발 4천600명, 생산유발 6천400억원, 부가가치 유발 2천800억원 등의 경제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단지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난제도 많다. 먼저 국토교통부에서 보금자리지구 취소 이후 마련한 ‘특별관리지역 관리계획’안에 도의 계획을 포함시켜야 한다. 또한 지구 내 3곳 중 개발후보지 선정과정에서 해당 지자체와의 의견조율도 필요하다. 하지만 서부권에 국가경제를 견인할 첨단산업의 거점도시를 조성한다는데 크게 문제되지는 않을 것이다. 광명·시흥은 서울 구로가산디지털단지·기아자동차·시화반월지구를 잇는 중심에 놓여 있다. 여기에 판교테크노밸리에 버금가는 첨단산업단지가 조성된다니 기대가 크다. 도는 광명·시흥시의 의견을 충분히 수령하는 등 긴밀히 협의해 이곳이 ‘제2의 판교테크노밸리’가 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길 바란다.
서부지역 성장 이끌 광명·시흥 첨단 연구단지
입력 2015-07-14 21:32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7-15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